
유한건강생활이 마이크로구조체 패치 전문기업 엔도더마와 칸나비올(CBD) 함유 마이크로니들 패치(Microneedle Patch, MNP)의 인체 피부자극 테스트를 완료하고 그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CBD는 의료용 대마의 유효 성분 중 하나다.
엔도더마는 경피 약물전달기술을 기반으로 설립된 마이크로니들 전문 기업으로, 마이크로니들 구조체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피부자극 테스트는 유한건강생활이 연구·제조한 CBD를 엔도더마의 마이크로니들 패치 기술에 접목했을 때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작됐다.
미국 전문임상연구기관(CRO) 주도로 진행된 CBD MNP의 1차 피부자극 테스트는 다음과 같이 진행됐다. 일반 식염수 샘플과 CBD 마이크로니들 패치 샘플을 각각 피험자의 팔에 부착한 후 폐쇄형 접착 패치로 일정 시간 덮어뒀다. 이후 패치를 제거해 팔 피부에 자극이 있었는지 피부과 전문의가 평가했다. 시험 결과, 테스트에 참석한 피험자 모두 CBD MNP와 관련된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피부 자극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한건강생활과 엔도더마는 CBD를 탑재한 마이크로니들 패치 구조에 관한 공동 연구를 마친 후 특허 출원까지 완료했다. 유한건강생활 관계자는 “앞으로도 CBD를 활용한 기술기반 신약 및 화장품 등 연구 개발과 투자를 지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한건강생활은 지난 2020년 경북 안동시에서 시행되고 있는 ‘경북 산업용 헴프(Hemp, 대마) 구제자유특구’ 사업자로 선정돼, 산하조직인 유한 천연물 연구소를 통해 CBD 성분의 안전성과 유효성 실증 그리고 국내 규제 완화를 위한 발판 마련에 앞장서고 있다.
엔도더마는 경피 약물전달기술을 기반으로 설립된 마이크로니들 전문 기업으로, 마이크로니들 구조체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피부자극 테스트는 유한건강생활이 연구·제조한 CBD를 엔도더마의 마이크로니들 패치 기술에 접목했을 때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작됐다.
미국 전문임상연구기관(CRO) 주도로 진행된 CBD MNP의 1차 피부자극 테스트는 다음과 같이 진행됐다. 일반 식염수 샘플과 CBD 마이크로니들 패치 샘플을 각각 피험자의 팔에 부착한 후 폐쇄형 접착 패치로 일정 시간 덮어뒀다. 이후 패치를 제거해 팔 피부에 자극이 있었는지 피부과 전문의가 평가했다. 시험 결과, 테스트에 참석한 피험자 모두 CBD MNP와 관련된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피부 자극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한건강생활과 엔도더마는 CBD를 탑재한 마이크로니들 패치 구조에 관한 공동 연구를 마친 후 특허 출원까지 완료했다. 유한건강생활 관계자는 “앞으로도 CBD를 활용한 기술기반 신약 및 화장품 등 연구 개발과 투자를 지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한건강생활은 지난 2020년 경북 안동시에서 시행되고 있는 ‘경북 산업용 헴프(Hemp, 대마) 구제자유특구’ 사업자로 선정돼, 산하조직인 유한 천연물 연구소를 통해 CBD 성분의 안전성과 유효성 실증 그리고 국내 규제 완화를 위한 발판 마련에 앞장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