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지난해 기능성화장품 심사를 받은 제품 중 가장 많은 품목은 자외선차단제였다. 증가 폭이 큰 제품으로는 탈모 증상 완화 제품이 꼽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화장품 기업의 연구·개발에 도움을 주기 위해 기능성화장품 분야 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2023년 기능성화장품 심사 통계'를 7일 공개했다.

2023년 기능성화장품 심사 건수는 943건으로 확인됐다. 기능 별로는 ▲자외선차단 341건 ▲미백·주름개선·자외선차단(삼중기능성) 159건 ▲탈모증상 완화 131건 ▲미백‧주름개선(이중기능성) 59건 순이었다. 특히 탈모증상 완화 기능성 제품은 2022년 63건보다 지난해 131건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사회적으로 탈모에 관한 관심이 늘면서 관련 기능성화장품의 심사신청도 활발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2020년 처음으로 기능성화장품이 된 '피부장벽의 기능을 회복하여 가려움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도 2021년 3건, 2022년 9건, 2023년 23건으로 개발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23년 기능성화장품 심사 품목 중 국내 제조는 844건, 수입은 99건으로 제조가 90%로 나타났다. 2022년 제조 비율은 85%(제조 827건, 수입 147건)였다.


또 지난해 심사받은 기능성화장품 중 신규 주성분은 탈모증상 완화 5건, 주름개선 3건, 미백 2건, 여드름 1건, 피부장벽 1건이었다.

식약처는 "기능성화장품 심사 통계 자료가 화장품 연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규제과학을 바탕으로 국내 업계의 기능성화장품 연구·개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했다.

한편,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대표 홈페이지 화장품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