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건강]

배우 박형식(32)과 혜리(29)가 가장 길었던 수면시간을 공개해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2일 유튜브 채널 ‘혜리’에 출연한 박형식과 박신혜는 혜리와 함께 수면시간에 대해 이야기했다. 박형식은 “오후 3시에 자서 너무 개운하게 눈을 뜬 적이 있는데 일어나 보니 오후 7시였다”며 “4시간 지난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다음날 7시여서 총 28시간을 잤다”고 말했다. 이에 혜리도 “나도 27시간 잔 적 있다”고 말했다. 박신혜는 “많이 자면 오히려 머리가 아픈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로 수면 과다는 몸에 해로울 수 있다.
◇인지기능 저하
긴 시간 자면 인지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캐나다 웨스턴대 연구팀은 4만 명 이상의 참가자를 분석해 수면시간과 인지기능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매일 7~8시간 잠을 자는 사람의 인지기능이 가장 높았다. 반면 하루 8시간 이상 자면 인지기능이 떨어졌다. 연구에서 참가자의 추론, 언어 능력은 수면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연구팀은 “뇌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수면시간은 하루에 7~8시간”이라고 말했다.
◇기억력 저하
기억력도 떨어질 수 있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팀은 약 40만 명을 대상으로 평소 수면시간을 측정하고, 기억력 관련 테스트를 진행했다. 기억력 테스트는 6장의 카드를 보여주고 위치를 암기하게 한 후, 다시 맞추는 방식이었다. 그 결과, 수면시간이 9시간인 사람은 7시간인 사람과 비교해 실수할 확률이 5% 더 많았다. 성별, 나이 같은 조건을 고려하면 2% 정도였다. 수면시간이 10시간인 사람은 7시간인 사람과 비교해 실수할 확률이 11% 더 컸다. 성별, 나이 같은 조건을 반영했을 땐 6%였다. 연구팀은 결과에 대해 “너무 오래 자는 것도 기억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뇌졸중
나이 들수록 수면시간이 길어지면 뇌졸중 위험이 커진다. 실제로 영국 캠브리지대에서는 노인이 하루 8시간 이상 잠을 자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뇌졸중 위험이 50% 높아진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9년 5개월에 걸쳐 42~81세 사이 성인 약 1만 명의 수면과 심장 건강 사이 연관성을 분석했다. 잠이 부족하면 우리 몸의 대사활동에 이상이 생기면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증가한다. 코르티솔이 많이 분비될수록 혈압이 높아지고, 뇌졸중 위험도 커지는 것이다.
◇심혈관질환
수면 과다는 심혈관질환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영국 맥매스터대학과 베이징연합의학대학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수면 시간이 길수록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 커졌다. 연구팀은 북미, 유럽, 중동, 아시아 등 세계 7개 지역의 소득 수준이 다른 21개 국가에서 35~70세 성인 11만6632명을 관찰했다. 연구팀은 나이, 성별, 교육 수준, 흡연, 음주, 심혈관질환의 가족력 등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고려해 분석했다. 그 결과, 하루 평균 6~8시간 자는 참가자가 심혈관질환 및 사망 위험이 가장 낮았다. 8~9시간, 9~10시간, 10시간 이상 자면 심혈관질환 및 사망 위험이 각각 5%, 17%, 41% 증가했다.
지난 2일 유튜브 채널 ‘혜리’에 출연한 박형식과 박신혜는 혜리와 함께 수면시간에 대해 이야기했다. 박형식은 “오후 3시에 자서 너무 개운하게 눈을 뜬 적이 있는데 일어나 보니 오후 7시였다”며 “4시간 지난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다음날 7시여서 총 28시간을 잤다”고 말했다. 이에 혜리도 “나도 27시간 잔 적 있다”고 말했다. 박신혜는 “많이 자면 오히려 머리가 아픈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로 수면 과다는 몸에 해로울 수 있다.
◇인지기능 저하
긴 시간 자면 인지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캐나다 웨스턴대 연구팀은 4만 명 이상의 참가자를 분석해 수면시간과 인지기능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매일 7~8시간 잠을 자는 사람의 인지기능이 가장 높았다. 반면 하루 8시간 이상 자면 인지기능이 떨어졌다. 연구에서 참가자의 추론, 언어 능력은 수면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연구팀은 “뇌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수면시간은 하루에 7~8시간”이라고 말했다.
◇기억력 저하
기억력도 떨어질 수 있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팀은 약 40만 명을 대상으로 평소 수면시간을 측정하고, 기억력 관련 테스트를 진행했다. 기억력 테스트는 6장의 카드를 보여주고 위치를 암기하게 한 후, 다시 맞추는 방식이었다. 그 결과, 수면시간이 9시간인 사람은 7시간인 사람과 비교해 실수할 확률이 5% 더 많았다. 성별, 나이 같은 조건을 고려하면 2% 정도였다. 수면시간이 10시간인 사람은 7시간인 사람과 비교해 실수할 확률이 11% 더 컸다. 성별, 나이 같은 조건을 반영했을 땐 6%였다. 연구팀은 결과에 대해 “너무 오래 자는 것도 기억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뇌졸중
나이 들수록 수면시간이 길어지면 뇌졸중 위험이 커진다. 실제로 영국 캠브리지대에서는 노인이 하루 8시간 이상 잠을 자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뇌졸중 위험이 50% 높아진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9년 5개월에 걸쳐 42~81세 사이 성인 약 1만 명의 수면과 심장 건강 사이 연관성을 분석했다. 잠이 부족하면 우리 몸의 대사활동에 이상이 생기면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증가한다. 코르티솔이 많이 분비될수록 혈압이 높아지고, 뇌졸중 위험도 커지는 것이다.
◇심혈관질환
수면 과다는 심혈관질환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영국 맥매스터대학과 베이징연합의학대학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수면 시간이 길수록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 커졌다. 연구팀은 북미, 유럽, 중동, 아시아 등 세계 7개 지역의 소득 수준이 다른 21개 국가에서 35~70세 성인 11만6632명을 관찰했다. 연구팀은 나이, 성별, 교육 수준, 흡연, 음주, 심혈관질환의 가족력 등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고려해 분석했다. 그 결과, 하루 평균 6~8시간 자는 참가자가 심혈관질환 및 사망 위험이 가장 낮았다. 8~9시간, 9~10시간, 10시간 이상 자면 심혈관질환 및 사망 위험이 각각 5%, 17%, 41%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