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인천 호텔서 1층부터 18층까지 큰불 번져… 화재 속 살아남으려면?
이슬비 기자
입력 2023/12/18 15:56
먼저 대피 전 상황을 분석해야 한다. 자신이 있는 공간에서 불이 났다면 바로 출입구를 통해 빠져나와 옥상이나 밖으로 대피해야 한다. 만약 출입구 앞에 불길이 거세 나갈 수 없을 땐 안쪽에서 대피공간을 찾아야 한다. 다른 방이 있다면 대피공간으로 들어가 연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젖은 수건 등으로 문틈을 막고 구조를 기다린다. 베란다 등으로 다른 곳과 연결된 경량 칸막이가 있다면 부수고 넘어가 대피해야 한다.
자신이 있던 공간에서 거리가 떨어져 있는 곳에 불이 났다면 먼저 상황 판단을 해야 한다. 집 등 열기와 연기를 막아주는 문이 있는 곳이라면 오히려 화염에 무방비한 복도로 나가는 것보다 집 안에 있는 게 더 안전할 수 있다. 다만, 자신이 있는 공간 안으로 연기가 들어오기 시작하면 반드시 대피를 시작해야 한다. 10층 이하라면 완강기를 이용할 수 있다. 11층 이상에선 계단으로 이동하는 게 가장 안전한 방법이다. 현재 대부분 건축물 11층 이상 계단에는 연기 유입이 안 되도록 막는 특별 피난 계단이 설치돼 있다.
옥상으로 이동했다면 119 구조를 기다려야 한다. 이번 화재에서 일부 시민은 호텔 건물 옥상에서 바로 옆 건물 옥상으로 뛰어내려 목숨을 건졌지만, 자칫 잘못하다간 추락 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다. 화재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옥상 헬기 투입 등으로 빠른 구출을 원칙으로 하는 만큼 옥상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게 안전하다.
한편, 집이 아닌 호텔 등 다른 실내 공간에 들어갈 땐 항상 먼저 건물의 피난 경로를 확인하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