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쯔쯔가무시증 환자, 최근 4주간 5배 증가… 증상은?
이슬비 기자
입력 2023/11/15 11:14
최근 쯔쯔가무시증의 매개체인 털진드기 밀도지수가 늘고, 쯔쯔가무시 환자 수도 급증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4주(41~44주)간 털진드기 밀도지수는 0.58에서 1.83으로 3배 이상 늘었고, 환자 수는 145명에서 784명으로 5배 이상 증가했다.
쯔쯔가무시증(Scrub Typhus)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3급 법정 감염병으로, 쯔쯔가무시균(Orientia Tsutusgamushi)을 보유한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발생할 수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4주(41~44주)간 털진드기 밀도지수는 0.58에서 1.83으로 3배 이상 늘었고, 환자 수는 145명에서 784명으로 5배 이상 증가했다.
쯔쯔가무시증(Scrub Typhus)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3급 법정 감염병으로, 쯔쯔가무시균(Orientia Tsutusgamushi)을 보유한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발생할 수 있다.
쯔쯔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10일 이내 발열, 오한, 두통, 근육통, 발진 등의 증상이 발생하고, 물린 자리에 가피(검은 딱지)가 생기는 특징이 있다. 치명률은 국내에서 약 0.1~0.3%로 높지 않으나, 증상의 강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쯔쯔가무시증을 매개하는 털진드기 유충은 9월부터 11월까지 왕성하게 활동해 개체 수가 증가한다. 실제로 쯔쯔가무시증 환자의 약 50% 이상이 11월에 집중 발생한다. 따라서 진드기에게 물리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쯔쯔가무시증을 매개하는 털진드기 유충은 9월부터 11월까지 왕성하게 활동해 개체 수가 증가한다. 실제로 쯔쯔가무시증 환자의 약 50% 이상이 11월에 집중 발생한다. 따라서 진드기에게 물리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진드기에 물리지 않으려면 야외 활동 전에는 ▲작업복과 일상복을 구분해서 입고 ▲진드기에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장(밝은색 긴소매 옷, 모자, 목수건, 양말, 장갑 등)을 갖춰 입고 ▲농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고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해야 한다. 기피제는 효능 지속시간을 고려해 주기적으로 뿌려준다. 야외활동을 할 때는 돗자리를 사용하고, 풀숲에 옷을 벗어놓거나 용변을 보지 않는 것이 좋다.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은 다니는 것도 주의해야 한다. 귀가 후에는 즉시 옷을 털어 세탁하고, 샤워하면서 검은 딱지 등 몸에 벌레 물린 상처나 진드기가 없는지 살펴보는 게 좋다. 쯔쯔가무시증은 항생제로 치료가 가능하므로, 야외활동 후 10일 내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을 방문해 치료받는 것이 안전하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쯔쯔가무시증은 가을철에 집중 발생하지만 예방수칙을 준수하면 충분히 예방 가능하다"고 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10~11월에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 역학조사, 매개체 감시 정보를 국민들이 알 수 있도록 매주 '쯔쯔가무시증 주간소식지'를 발간하고 있으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질병관리청 감염병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쯔쯔가무시증은 가을철에 집중 발생하지만 예방수칙을 준수하면 충분히 예방 가능하다"고 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10~11월에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 역학조사, 매개체 감시 정보를 국민들이 알 수 있도록 매주 '쯔쯔가무시증 주간소식지'를 발간하고 있으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질병관리청 감염병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