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
비만 친구에게 '이런 말' 해주면… 살 빨리 빠진다
이해나 기자
입력 2023/11/10 07:30
주변에 살을 빼야 하는 비만 환자가 있다면 "뚱뚱해서 걱정된다" "몸에 해로울 거다" 등의 지적은 피하는 게 좋겠다. 비만 환자에게 체형에 대한 지적보다는 체중 감량의 이점에 대한 '긍정적인 말'을 하면 이들의 체중 감량 효과를 높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옥스포드대 연구팀은 87명의 의사가 비만 환자에게 '체중 감량 프로그램'에 대해 이야기하는 내용을 녹음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대화 내용에 따라 '부정' '긍정' '중립' 3가지 그룹으로 나눴다. 부정 그룹은 비만의 문제점을 강조했다. 비만의 위험성, 부작용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전달한 것이다. 긍정 그룹은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태도로 의사소통하고 체중 감량으로 얻을 수 있는 이로운 점에 초점을 맞췄다. 중립 그룹은 대화 중 비만에 대해 특별히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내용을 언급하지 않았다. 그리고 각 그룹 환자가 12개월 동안 얼마나 살이 빠졌는지 평가했다. 조사 결과, 평균적으로 '긍정' 그룹은 4.8kg, '부정' 그룹은 2.7kg, 중립 그룹은 1.2kg을 감량해, 체중 감량에 대한 긍정적인 내용을 많이 다룬 그룹에서 환자의 다이어트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옥스포드대 너필드 일차의료보건과학부 연구원 샬롯 앨버리 박사는 "체중 감량의 이점을 긍정적인 방식으로 전달하는 대화를 했을 때 환자가 체중 감량 프로그램에 등록하고, 프로그램 속 더 많은 세션에 참석했다"며 "체중 감량 효과도 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의사소통의 미묘한 차이였지만 1년 후 환자 변화에 분명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영국 옥스포드대 연구팀은 87명의 의사가 비만 환자에게 '체중 감량 프로그램'에 대해 이야기하는 내용을 녹음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대화 내용에 따라 '부정' '긍정' '중립' 3가지 그룹으로 나눴다. 부정 그룹은 비만의 문제점을 강조했다. 비만의 위험성, 부작용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전달한 것이다. 긍정 그룹은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태도로 의사소통하고 체중 감량으로 얻을 수 있는 이로운 점에 초점을 맞췄다. 중립 그룹은 대화 중 비만에 대해 특별히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내용을 언급하지 않았다. 그리고 각 그룹 환자가 12개월 동안 얼마나 살이 빠졌는지 평가했다. 조사 결과, 평균적으로 '긍정' 그룹은 4.8kg, '부정' 그룹은 2.7kg, 중립 그룹은 1.2kg을 감량해, 체중 감량에 대한 긍정적인 내용을 많이 다룬 그룹에서 환자의 다이어트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옥스포드대 너필드 일차의료보건과학부 연구원 샬롯 앨버리 박사는 "체중 감량의 이점을 긍정적인 방식으로 전달하는 대화를 했을 때 환자가 체중 감량 프로그램에 등록하고, 프로그램 속 더 많은 세션에 참석했다"며 "체중 감량 효과도 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의사소통의 미묘한 차이였지만 1년 후 환자 변화에 분명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내과연보(Annals of Internal Medicine)'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