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피부 멍, ‘달걀’로 문지르면 없어진다… 진실 혹은 거짓?
신소영 기자
입력 2023/11/01 07:00
잘 보이는 곳에 푸르스름한 멍이 들면 닿을 때마다 아플 뿐만 아니라, 외관상 신경 쓰이기 마련이다. 간혹 멍든 부위를 달걀로 문지르거나 찜질하는 이들이 있는데, 정말 멍이 빠르게 빠지는 효과가 있을까?
멍은 어딘가에 부딪히거나 넘어진 충격으로 인해 찢어진 모세혈관에서 나온 피가 뭉쳐져 생긴다. 만약 멍이 생기고 하루가 지났다면 달걀로 멍 부위를 문지르는 게 도움이 된다. 타원형의 달걀을 이용하면 일정한 압력으로 마사지할 수 있는데, 이는 혈액순환을 촉진해 멍이 빨리 빠질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꼭 달걀이 아니더라도 타원형 물건이라면 멍 완화 효과를 볼 수 있다. 다만, 멍이 생기자마자 마사지하는 것은 안 된다. 마사지로 모세혈관이 자극을 받으면 혈액 성분이 더 빠져나와 멍이 짙어질 수 있다.
멍이 든 직후에는 젖은 수건으로 얼음을 감싸서 멍든 부위를 누르는 등 냉찜질하는 것이 좋다. 그럼 혈관이 수축해서 모세혈관에서 혈액이 나오는 것을 방해하고 멍이 퍼지는 것을 막는다. 멍이 생기고 2~3일 후에는 이미 혈액이 다 나와 뭉쳐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온찜질을 한다. 온찜질로 체내 혈액순환이 원활해지면 뭉친 혈액을 빨리 순환시킬 수 있어 멍이 빨리 빠진다. 이외에도 비타민C가 풍부한 과일과 채소, 비타민K가 풍부한 녹황색 채소를 많이 섭취하는 것도 멍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비타민C는 상처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고, 비타민K는 출혈 시 혈액응고에 도움이 된다.
한편, 멍이 심하다면 약국에 판매하는 약을 구매해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약에는 항응고 성분인 헤파린나트륨과 혈관 벽을 강화하는 에스신(Aescin) 성분 등이 있어 멍을 풀어주며 세포 속 체액이 빠져나오지 못하게 막는다. 다만, 소아에게 사용한다면 의사나 약사의 지침을 따라야 하며, 눈이나 점막 부위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상처가 있는 피부에 바르면 따가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만약 약을 발라도 멍이 심하거나 2주 이상 오래간다면 피부과에서 LED나 IPL(광선조사기)를 쪼아 치료할 수 있다.
멍은 어딘가에 부딪히거나 넘어진 충격으로 인해 찢어진 모세혈관에서 나온 피가 뭉쳐져 생긴다. 만약 멍이 생기고 하루가 지났다면 달걀로 멍 부위를 문지르는 게 도움이 된다. 타원형의 달걀을 이용하면 일정한 압력으로 마사지할 수 있는데, 이는 혈액순환을 촉진해 멍이 빨리 빠질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꼭 달걀이 아니더라도 타원형 물건이라면 멍 완화 효과를 볼 수 있다. 다만, 멍이 생기자마자 마사지하는 것은 안 된다. 마사지로 모세혈관이 자극을 받으면 혈액 성분이 더 빠져나와 멍이 짙어질 수 있다.
멍이 든 직후에는 젖은 수건으로 얼음을 감싸서 멍든 부위를 누르는 등 냉찜질하는 것이 좋다. 그럼 혈관이 수축해서 모세혈관에서 혈액이 나오는 것을 방해하고 멍이 퍼지는 것을 막는다. 멍이 생기고 2~3일 후에는 이미 혈액이 다 나와 뭉쳐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온찜질을 한다. 온찜질로 체내 혈액순환이 원활해지면 뭉친 혈액을 빨리 순환시킬 수 있어 멍이 빨리 빠진다. 이외에도 비타민C가 풍부한 과일과 채소, 비타민K가 풍부한 녹황색 채소를 많이 섭취하는 것도 멍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비타민C는 상처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고, 비타민K는 출혈 시 혈액응고에 도움이 된다.
한편, 멍이 심하다면 약국에 판매하는 약을 구매해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약에는 항응고 성분인 헤파린나트륨과 혈관 벽을 강화하는 에스신(Aescin) 성분 등이 있어 멍을 풀어주며 세포 속 체액이 빠져나오지 못하게 막는다. 다만, 소아에게 사용한다면 의사나 약사의 지침을 따라야 하며, 눈이나 점막 부위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상처가 있는 피부에 바르면 따가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만약 약을 발라도 멍이 심하거나 2주 이상 오래간다면 피부과에서 LED나 IPL(광선조사기)를 쪼아 치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