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전국에 퍼진 소 ‘럼피스킨병’… 소고기 먹어도 될까?
이슬비 기자
입력 2023/10/27 08:30
소를 매개체로 한 바이러스성 질병인 럼피스킨병이 빠른 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덩달아 소에서 얻는 소고기, 우유, 치즈 등을 먹어도 되는지 '푸드 포비아(Food Phobia·음식 공포증 또는 불안감)'가 조성되고 있다. 안심하고 먹어도 될까?
먹어도 된다. 럼피스병은 피부에 2~5cm짜리 혹이 생기면서 고열이 나는 제1종 가축 전염병으로, 흡혈 곤충을 통해 소와 물소만 감염된다. 럼피스킨병의 바이러스는 숙주 범위가 좁아 소와 비슷한 다른 동물들에게도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사람에게도 마찬가지다. 고기나 우유 등으로 입을 통해 들어오든 어떤 형태로도 사람에게 위해를 끼치진 않는다. 게다가 현재 우리나라 축산물 관리 시스템을 고려하면, 럼피스킨병에 감염된 소는 도축되거나 유통돼 식탁에 오를 가능성은 매우 낮다.
감염된 소는 살처분된다. 럼피스킨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이다. 2013년 이스라엘에서 럼피스킨병이 발생했을 땐 한 농장에서 감염 소가 발견된 후 22개 농장까지 확산했다. 인도에서는 이 병으로 200만 마리 소가 감염되기까지 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처음 발견된 20일 이후, 엿새 만에 전국에서 26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발병 지역도 충남부터 경기를 거쳐 강원까지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이 질환이 발병한 건 처음인데, 9월 중순 바이러스가 국내에 유입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해외에서 바이러스에 감염된 흡혈곤충이 기류를 타고 넘어왔거나, 코로나가 풍토병화된 후 해외와 교류가 증가하며 선박 등을 통해 넘어왔을 개연성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당국에서 역학조사 중이다. 기존 아프리카 풍토병이었던 럼피스킨병은 유럽으로 건너간 뒤 러시아, 서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순으로 세계적으로 봐도 발병 지역을 확장하고 있다.
정부는 오는 31일까지 400만두분의 백신을 국내에 긴급 도입할 예정이며, 11월 초까지 전국 모든 소를 접종 완료할 계획이다. 다만, 백신을 접종하고 나서 항체가 생기기까지 3주간의 시간이 소요돼, 당분간 럼피스병 확산은 계속될 예정이다. 당국에서는 더 이상 확산을 막기 위해 농장과 그 주변을 방제소독하고, 소독제 등을 지원한다.
한편, 럼피스킨병 확산으로 수급이 불안정해지면서 한우 도매가격이 10%가량 올랐다. 농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 권재한 실장은 지난 25일 브리핑에서 "이동 중지 기간에 도축장으로 출하해야 할 소가 출하하지 못해 생긴 일시적 현상"으로 "국내에서 기르는 한우 두수는 356만두이고, 살처분한 소는 젖소를 포함해 1698만두이므로 수급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다"고 했다.
먹어도 된다. 럼피스병은 피부에 2~5cm짜리 혹이 생기면서 고열이 나는 제1종 가축 전염병으로, 흡혈 곤충을 통해 소와 물소만 감염된다. 럼피스킨병의 바이러스는 숙주 범위가 좁아 소와 비슷한 다른 동물들에게도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사람에게도 마찬가지다. 고기나 우유 등으로 입을 통해 들어오든 어떤 형태로도 사람에게 위해를 끼치진 않는다. 게다가 현재 우리나라 축산물 관리 시스템을 고려하면, 럼피스킨병에 감염된 소는 도축되거나 유통돼 식탁에 오를 가능성은 매우 낮다.
감염된 소는 살처분된다. 럼피스킨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이다. 2013년 이스라엘에서 럼피스킨병이 발생했을 땐 한 농장에서 감염 소가 발견된 후 22개 농장까지 확산했다. 인도에서는 이 병으로 200만 마리 소가 감염되기까지 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처음 발견된 20일 이후, 엿새 만에 전국에서 26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발병 지역도 충남부터 경기를 거쳐 강원까지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이 질환이 발병한 건 처음인데, 9월 중순 바이러스가 국내에 유입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해외에서 바이러스에 감염된 흡혈곤충이 기류를 타고 넘어왔거나, 코로나가 풍토병화된 후 해외와 교류가 증가하며 선박 등을 통해 넘어왔을 개연성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당국에서 역학조사 중이다. 기존 아프리카 풍토병이었던 럼피스킨병은 유럽으로 건너간 뒤 러시아, 서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순으로 세계적으로 봐도 발병 지역을 확장하고 있다.
정부는 오는 31일까지 400만두분의 백신을 국내에 긴급 도입할 예정이며, 11월 초까지 전국 모든 소를 접종 완료할 계획이다. 다만, 백신을 접종하고 나서 항체가 생기기까지 3주간의 시간이 소요돼, 당분간 럼피스병 확산은 계속될 예정이다. 당국에서는 더 이상 확산을 막기 위해 농장과 그 주변을 방제소독하고, 소독제 등을 지원한다.
한편, 럼피스킨병 확산으로 수급이 불안정해지면서 한우 도매가격이 10%가량 올랐다. 농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 권재한 실장은 지난 25일 브리핑에서 "이동 중지 기간에 도축장으로 출하해야 할 소가 출하하지 못해 생긴 일시적 현상"으로 "국내에서 기르는 한우 두수는 356만두이고, 살처분한 소는 젖소를 포함해 1698만두이므로 수급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