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질환
국물 요리만 먹으면 ‘콧물 폭포’… ‘이 질환’일 수도
전종보 기자
입력 2023/10/22 16:30
매운 음식이나 국물·찜과 같은 뜨거운 음식만 먹으면 콧물을 많이 흘리는 사람들이 있다. 심한 경우 식사 내내 코를 풀거나 휴지로 코를 막고 있어야 할 만큼 콧물이 많이 나기도 한다. 이처럼 밥 먹을 때마다 불편할 정도로 콧물이 많이 난다면 ‘혈관운동성 비염’일 수 있다.
혈관운동성 비염은 꽃가루·털·진드기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비염이 아닌, 외부 자극 때문에 생기는 비(非)알레르기성 질환이다. 코 막힘, 콧물 등 주요 증상이 알레르기성 비염과 유사하지만, 가려움, 재채기 같은 증상은 심하지 않다.
자극을 주는 요인은 다양하다. 뜨겁고 매운 음식 외에 스트레스, 찬 공기, 온도변화 등도 영향을 미친다. 자극에 의해 콧속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콧속 점막의 혈관이 확장되고 혈류가 증가하는데, 이 과정에서 점액이 많이 분비돼 콧물이 계속 흐른다. 같은 이유로 술을 마실 때도 콧물이 많이 날 수 있다. 알코올 또한 콧속 점막의 혈관을 확장시키기 때문이다. 요즘과 같이 날씨가 추워지는 시기에는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와 찬 공기 때문에 증상이 심해지기도 한다. 콧속이 좁은 사람은 콧물이 흐르는 동시에 코가 꽉 막힌다.
증상을 예방·완화하려면 원인이 되는 외부 자극을 피해야 한다. 코에 자극이 될 수 있는 맵고 뜨거운 음식은 적게 먹거나 먹지 않는 게 좋고, 흡연과 음주 또한 삼가도록 한다. 대기 질이 좋지 않은 날에는 외출을 자제하며, 일교차가 크고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시기에는 마스크, 목도리 등으로 호흡기를 보호해야 한다. 증상이 심할 땐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항콜린제 스프레이나 스테로이드제를 투여하면 부교감신경이 억제돼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비염이 심해 약물치료에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을 경우 콧속 부교감 신경을 자르는 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혈관운동성 비염은 꽃가루·털·진드기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비염이 아닌, 외부 자극 때문에 생기는 비(非)알레르기성 질환이다. 코 막힘, 콧물 등 주요 증상이 알레르기성 비염과 유사하지만, 가려움, 재채기 같은 증상은 심하지 않다.
자극을 주는 요인은 다양하다. 뜨겁고 매운 음식 외에 스트레스, 찬 공기, 온도변화 등도 영향을 미친다. 자극에 의해 콧속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콧속 점막의 혈관이 확장되고 혈류가 증가하는데, 이 과정에서 점액이 많이 분비돼 콧물이 계속 흐른다. 같은 이유로 술을 마실 때도 콧물이 많이 날 수 있다. 알코올 또한 콧속 점막의 혈관을 확장시키기 때문이다. 요즘과 같이 날씨가 추워지는 시기에는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와 찬 공기 때문에 증상이 심해지기도 한다. 콧속이 좁은 사람은 콧물이 흐르는 동시에 코가 꽉 막힌다.
증상을 예방·완화하려면 원인이 되는 외부 자극을 피해야 한다. 코에 자극이 될 수 있는 맵고 뜨거운 음식은 적게 먹거나 먹지 않는 게 좋고, 흡연과 음주 또한 삼가도록 한다. 대기 질이 좋지 않은 날에는 외출을 자제하며, 일교차가 크고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시기에는 마스크, 목도리 등으로 호흡기를 보호해야 한다. 증상이 심할 땐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항콜린제 스프레이나 스테로이드제를 투여하면 부교감신경이 억제돼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비염이 심해 약물치료에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을 경우 콧속 부교감 신경을 자르는 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