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물 내리기 전… '변 색깔' 확인해야 하는 이유
이해나 기자 | 이유림 인턴기자
입력 2023/10/22 23:00
◇변 색깔별 건강 상태
▷검은색=검은색 변은 식도·위·십이지장·소장 등 위장관에 출혈이 생겼다는 신호일 수 있다. 점막 상처 때문에 혈액이 음식물과 섞인 뒤 산소와 만나 산화되고 검은색으로 변한 것이다. 특히 위식도역류질환, 위염, 위궤양 등이 있을 때 검은색 변을 보기 쉽다.
▷흰색·회색=흰색·회색 변을 봤다면 담도폐쇄증을 의심할 수 있다. 담도폐쇄증은 담즙이 변에 제대로 섞이지 않았을 때 생기는 증상으로, 흰 쌀밥을 뭉쳐놓거나 두부를 으깨놓은 것 같은 변을을 만든다. 췌장염이 있으면 지방 분해 능력이 떨어져 기름 성분 때문에 변이 흰색에 가까워지기도 한다.
▷녹색=설사가 심해 변이 대장을 통화하는 시간이 짧으면 녹색 변이 나올 수 있다. 변은 초록빛의 담즙이 장내 세균과 만나 갈색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간혹 녹색 채소를 많이 먹은 뒤에도 녹색 변을 볼 수 있다.
◇변 모양별 건강 상태
▷가늘고 긴 모양=체내 영양이 부족하거나 불균형할 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다이어트를 위해 식사량을 급격히 줄였을 때 가늘고 긴 변을 볼 확률이 높다. 식사량을 늘리고 섬유소와 단백질을 보충하면 다시 원래 모양으로 돌아올 수 있다.
▷토끼 똥 모양=토끼 똥처럼 작은 구슬 모양의 변을 보거나 변이 자주 끊기면 변비일 수 있다. 몸속 수분이 부족해 장에 변이 오랫동안 머물며 딱딱하게 굳어진 것이다. 하루 2L 이상 충분히 물을 마시며 수분 보충을 하는 게 좋다.
▷으깨진 형태=설사의 전조 증상이다. 식습관과 생활습관의 과도한 변화로 스트레스를 받으 때 주로 나타난다. 세균에 오염된 음식을 먹어 급성 장염에 걸렸을 때도 으깨진 변이 나올 수 있다. 만약 설사 증상이 오래 지속되면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