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밀린 드라마 연휴에 정주행? ‘이 암’ 위험 높일 수도
이해림 기자
입력 2023/10/01 17:00
앉아서 오랜 시간 영화를 보면 몸의 움직임이 줄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커진다. 영국 브리스톨대 연구에 의하면, 하루 4시간 이상 TV를 시청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혈전 발생 위험이 13.5배 더 컸다. 혈전은 혈액순환이 잘 안 돼 피가 떡처럼 뭉친 것이다. 혈전이 혈관을 막기라도 하면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이 생길 수 있다.
장시간 TV를 시청하면 대장암 발병 위험과 사망률도 높아진다. 하루 4시간 이상 TV를 본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대장암 발병률이 35% 더 높다는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가 있다. 일본 오사카 의대 연구에 따르면, 하루 TV 시청 시간이 1시간 늘어날수록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6%씩 증가했다. 가만히 앉아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 다리를 비롯한 하체의 혈류가 정체돼 염증 물질이 늘어난다. 여기에 TV를 시청하는 동안 가당 음료나 과자, 치킨 등 트랜스지방이 함유된 간식을 곁들이면 몸에 더 해롭다.
눈이 건조해지는 것도 문제다. 드라마를 몰아보는 동안 한 곳을 오래 응시하면 눈이 건조해진다. 특히 불을 끈 채로 어두운 환경에서 TV나 태블릿 화면을 오래 보면 눈의 피로도가 가중돼 더 건조해진다. 이런 일이 반복되면 눈이 뻑뻑하고 이물감, 두통이 동반되는 안구건조증이 생길 수 있다.
건강을 지키려면, 드라마를 여러 편 연달아 보고 싶어도 참는 게 좋다. 수면 시간을 피해서 한두 편만 보는 게 바람직하다. 자기 직전에 드라마를 보는 경우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가 억제돼 잠들기 어려워질 수 있으니 특히 주의한다. TV로 드라마를 본다면 TV에서 2m 이상 떨어져서 시청하는 게 좋다. 가만히 앉아서 보기보단 집안일이나 실내 자전거 타기 등 무엇이라도 활동하며 봐야 한다. 드라마를 보다가도 30분에 한 번씩은 일어나서 스트레칭하는 게 좋다. 한 시간마다 10분씩은 눈을 돌려 다른 곳을 보거나 눈을 감고 쉬어야 한다. 너무 건조하다면 인공눈물을 넣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