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인공지능 탑재된 매개모기 자동분류감시장비(AI-DMS)./사진=질병관리청 제공
질병관리청이 감염병 매개모기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방제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 자동모기분류감시장비'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모기 발생을 감시하기 위해 포집기 등으로 채집한 뒤 수거해서 연구실에서 종을 분류해 왔다. 최소 수일이 소요돼 즉각적으로 방제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빠른 대처를 위해 일일모기발생감시장비(DMS)로 모기 발생 수를 파악해 방제에 적용하고 있지만, 이 또한 채집된 모기가 어떤 종인지 파악하려면 사람이 직접 육안과 현미경으로 구분하는 분류작업을 추가로 수행해야 했다.

질병관리청은 모기 발생 감시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충남대, 이티앤디와 함께 인공지능 기반 실시간 자동모기분류감시장비를 개발했다. 이 장비는 이산화탄소로 모기를 유인해 포집한 후, 영상을 현장에서 바로 확보하고 촬영된 모기 영상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분류한다. 이 장비로 모기 종의 채집지역·지점별, 월별 발생 현황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전 세계 최초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이 장비는 국내 주요 감염병 매개모기인 얼룩날개모기, 작은빨간집모기, 빨간집모기, 흰줄숲모기, 금빛숲모기를 94.7%의 정확도로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도는 앞으로 모기 데이터가 추가로 학습되면 더 향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질병관리청은 "일본뇌염(작은빨간집모기), 말라리아(얼룩날개모기류), 뎅기열(흰줄숲모기) 등을 아울러 매일 채집된 모기를 분류하고 발생 수를 제공할 수 있다"며 "모기다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살충제 오·남용의 문제점을 개선해 더 효율적, 환경친화적인 방제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질병청은 오는 9월부터 일부 지자체와 함께 개발 장비를 시범 운영한다. 추후 전국 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운영을 확대할 예정이다. 내년부터 국고보조사업으로 매개모기 자동분류 감시장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예산을 협의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이번에 개발한 자동모기분류감시장비로 정확한 모기 발생정보 수집이 가능하다"며 "선제적이면서 즉각적인 방제로 살충제 사용을 최소화하고 매개모기로 인한 질병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