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정식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로 허가를 받은 화이자의 '팍스로비드(성분명 : 니르마트렐비르/리토나비르)'가 내년 상반기 보험급여 등재를 목표로 고속 등재 절차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화이자제약 코로나19 사업부 김은지 이사는 "정부가 목표로 한 코로나19 치료제 급여 등재 시점을 달성하고자 화이자는 정부가 요청한 연구 결과와 정확한 자료를 제출하는 등 최선을 다해 협조하고 있다"고 24일 기자간담회에서 밝혔다. 정부는 코로나19 위기단계 조정 로드맵 완화 계획에 따라, 2024년 상반기 내 팍스로비드 보험급여 등재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 같은 조치는 현재 무상공급 중인 팍스로비드가 일반적인 의약품처럼 유상공급 대상으로 전환을 앞둔 데 따른 것이다. 내달 방역체계를 더욱 완화하는 코로나19 위기단계 조정 로드맵 2단계를 시행하게 되면, 코로나19는 인플루엔자(독감)와 같은 4급 감염병으로 전환된다. 즉, 팍스로비드도 일반의료체계 내 의약품으로 편입이 불가피해진다. 정부는 2단계 로드맵이 시행되더라도 당분간 먹는 코로나 치료제는 무료로 제공하겠다고 했으나, 무상제공 기간이 언제까지가 될지는 알 수 없다.
김은지 이사는 "화이자도 정부의 선 구매 후 무상제공 방식이 언제까지 유지될지는 알 수 없다"며 "현재로선 선 구매 물량이 남아있고, 기존 전문의약품 제공방식으로 언제, 어떻게 전환할지는 정부와 논의 중이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도 제약사도 이런 상황은 처음이라 현장 혼란을 최소화하며 약제 접근성을 유지하는 방법을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김은지 이사는 "이제 막 정식 허가를 받은 전문의약품이 내년 상반기까지 급여 등재되는 게 평범한 일은 아니다"며 "전문의약품이 보험 등재를 위해 밟아야 하는 절차는 다 거치되 정부가 제시한 보험 등재 시점을 지키기 위해 긴밀하게 협조 중이다"고 밝혔다. 김 이사는 "그 외 보험급여 절차는 회사의 영역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는 팍스로비드가 파격적인 수준의 보험급여 등재 절차를 밟게 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는 대목이다. 신약이 보험급여 등재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리기 때문이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 '글로벌 신약 접근 보고서'에 따르면, 신약이 처음 출시된 이후 한국에서 급여가 적용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46개월로 약 4년이 걸린다.
한편, 팍스로비드 급여 전환 후 가격 역시 윤곽이 나오지 않았다. 팍스로비드의 가격은 1세트(5일분)에 약 70만원 내외로 알려졌으나 보험급여가 적용되면 실질적으로 환자가 부담해야 하는 금액은 달라진다.
한국화이자제약 코로나19 사업부 김은지 이사는 "정부가 목표로 한 코로나19 치료제 급여 등재 시점을 달성하고자 화이자는 정부가 요청한 연구 결과와 정확한 자료를 제출하는 등 최선을 다해 협조하고 있다"고 24일 기자간담회에서 밝혔다. 정부는 코로나19 위기단계 조정 로드맵 완화 계획에 따라, 2024년 상반기 내 팍스로비드 보험급여 등재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 같은 조치는 현재 무상공급 중인 팍스로비드가 일반적인 의약품처럼 유상공급 대상으로 전환을 앞둔 데 따른 것이다. 내달 방역체계를 더욱 완화하는 코로나19 위기단계 조정 로드맵 2단계를 시행하게 되면, 코로나19는 인플루엔자(독감)와 같은 4급 감염병으로 전환된다. 즉, 팍스로비드도 일반의료체계 내 의약품으로 편입이 불가피해진다. 정부는 2단계 로드맵이 시행되더라도 당분간 먹는 코로나 치료제는 무료로 제공하겠다고 했으나, 무상제공 기간이 언제까지가 될지는 알 수 없다.
김은지 이사는 "화이자도 정부의 선 구매 후 무상제공 방식이 언제까지 유지될지는 알 수 없다"며 "현재로선 선 구매 물량이 남아있고, 기존 전문의약품 제공방식으로 언제, 어떻게 전환할지는 정부와 논의 중이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도 제약사도 이런 상황은 처음이라 현장 혼란을 최소화하며 약제 접근성을 유지하는 방법을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김은지 이사는 "이제 막 정식 허가를 받은 전문의약품이 내년 상반기까지 급여 등재되는 게 평범한 일은 아니다"며 "전문의약품이 보험 등재를 위해 밟아야 하는 절차는 다 거치되 정부가 제시한 보험 등재 시점을 지키기 위해 긴밀하게 협조 중이다"고 밝혔다. 김 이사는 "그 외 보험급여 절차는 회사의 영역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는 팍스로비드가 파격적인 수준의 보험급여 등재 절차를 밟게 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는 대목이다. 신약이 보험급여 등재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리기 때문이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 '글로벌 신약 접근 보고서'에 따르면, 신약이 처음 출시된 이후 한국에서 급여가 적용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46개월로 약 4년이 걸린다.
한편, 팍스로비드 급여 전환 후 가격 역시 윤곽이 나오지 않았다. 팍스로비드의 가격은 1세트(5일분)에 약 70만원 내외로 알려졌으나 보험급여가 적용되면 실질적으로 환자가 부담해야 하는 금액은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