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심장 문제없는데 숨 가쁘다면? ‘이 증후군’ 의심해보세요
최지우 기자
입력 2023/07/13 06:00
‘과호흡 증후군’이 있으면 갑자기 호흡이 빨라지고 호흡량이 늘어 숨이 가빠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과호흡이 한 번 발생하면 특정 상황에 처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증상이 생길 수 있으며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다. 과호흡 증후군에 대해 알아본다.
◇이산화탄소 부족으로 발생
과호흡 증후군은 호흡을 하면서 이산화탄소가 필요 이상으로 배출돼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정상범위 미만으로 낮아지는 질환이다. 혈중 이산화탄소 정상 농도는 37~43mmHg다. 호흡 곤란, 가슴 통증, 어지러움, 손발 경련 등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 의식을 잃기도 한다. 한 번 과호흡을 경험하면 증상이 또 나타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증폭돼 비슷한 환경에 처하거나 사람이 많은 곳을 갈 때, 긴장되는 상황 등에서 증상이 반복되기도 한다.
◇다양한 원인
과호흡 증후군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특정 질환에 의한 신체적 이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폐질환, 심장질환, 신장질환, 패혈증, 저산소증 등이 위험질환이다. 이외에 신체적으로 건강한 사람에게서 정신적 원인에 의해 나타나기도 한다. 스트레스, 불안, 공황장애 등이 주원인이다.
정신적인 문제와 신체적 이상이 동시에 원인이 될 수도 있어 과호흡 증상이 나타나면 혈액검사, 폐 기능 검사 등을 함께 받는 것이 좋다.
◇호흡 조절하고 원인 질환 치료를
과호흡 증상이 발생했다면, 호흡 안정이 급선무다. 앉은 상태에서 4초간 코로 천천히 숨을 들이마시고 1~2초 멈춘 뒤, 입을 통해 4초간 숨을 내쉬는 게 좋다. 5~10회 정도 해당 호흡법을 반복하면 된다. 호흡만으로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항불안제, 베타차단제 등 약물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안정을 되찾았더라도 반드시 병원에 내원해 혈액 검사, 폐 기능 검사 등을 받아야 한다. 과호흡 증후군의 원인이 신체적 질환일 경우, 원인질환을 치료하면 과호흡 증후군도 치유되기 때문이다. 병에 대한 불안이나 스트레스 등은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평소 충분한 휴식과 규칙적인 운동으로 스트레스를 잘 관리해야 한다. 운동은 과격한 운동보다 동작이 작은 운동 위주로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이밖에 긴장감·불안함 등을 느낄 때 복식호흡으로 증상을 조절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산화탄소 부족으로 발생
과호흡 증후군은 호흡을 하면서 이산화탄소가 필요 이상으로 배출돼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정상범위 미만으로 낮아지는 질환이다. 혈중 이산화탄소 정상 농도는 37~43mmHg다. 호흡 곤란, 가슴 통증, 어지러움, 손발 경련 등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 의식을 잃기도 한다. 한 번 과호흡을 경험하면 증상이 또 나타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증폭돼 비슷한 환경에 처하거나 사람이 많은 곳을 갈 때, 긴장되는 상황 등에서 증상이 반복되기도 한다.
◇다양한 원인
과호흡 증후군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특정 질환에 의한 신체적 이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폐질환, 심장질환, 신장질환, 패혈증, 저산소증 등이 위험질환이다. 이외에 신체적으로 건강한 사람에게서 정신적 원인에 의해 나타나기도 한다. 스트레스, 불안, 공황장애 등이 주원인이다.
정신적인 문제와 신체적 이상이 동시에 원인이 될 수도 있어 과호흡 증상이 나타나면 혈액검사, 폐 기능 검사 등을 함께 받는 것이 좋다.
◇호흡 조절하고 원인 질환 치료를
과호흡 증상이 발생했다면, 호흡 안정이 급선무다. 앉은 상태에서 4초간 코로 천천히 숨을 들이마시고 1~2초 멈춘 뒤, 입을 통해 4초간 숨을 내쉬는 게 좋다. 5~10회 정도 해당 호흡법을 반복하면 된다. 호흡만으로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항불안제, 베타차단제 등 약물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안정을 되찾았더라도 반드시 병원에 내원해 혈액 검사, 폐 기능 검사 등을 받아야 한다. 과호흡 증후군의 원인이 신체적 질환일 경우, 원인질환을 치료하면 과호흡 증후군도 치유되기 때문이다. 병에 대한 불안이나 스트레스 등은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평소 충분한 휴식과 규칙적인 운동으로 스트레스를 잘 관리해야 한다. 운동은 과격한 운동보다 동작이 작은 운동 위주로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이밖에 긴장감·불안함 등을 느낄 때 복식호흡으로 증상을 조절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