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대의료원이 27일 ‘아주대학교 평택병원’ 건립을 위한 토지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지매매계약은 아주대학교 평택병원이 세워질 예정인 평택브레인시티 일반산업단지 내 의료시설용지 약 1만2000평이다. 아주대의료원은 이번 병원 부지 매입을 위한 계약을 체결하면서 설계 착수 등 병원 건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아주대의료원은 평택시와 지난 2018년, 2019년 병원 건립을 위한 1,2차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이후 2021년 8월 브레인시티 내 의료복합타운 민간사업자 공모에서 우선협상대상자(아주대병원 - ㈜투게더홀딩스 컨소시엄)로 선정됐으며, 2022년 3월 ‘아주대학교 평택병원’ 건립을 위한 이행협약을 체결했다.
평택시는 인구 58만 명의 대도시로 고덕국제신도시·브레인시티 일반산업단지 조성 등 인구 유입이 예상된다. 아주대병원이 건립되면 상급종합병원급 의료서비스 혜택이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주대학교 평택병원은 2030년 초 개원이 목표다. 500병상 규모의 친환경·최첨단 스마트 인텔리전트 종합병원으로 건립할 계획이다. 또 감염병, 분만, 소아 환자, 중증응급·외상질환 등 지역 내 필수의료분야와 상대적으로 취약했던 암·난치성 중증질환에 주력할 예정이다. 더불어 수원에 위치한 본원과 긴밀히 협력해 경기 남부권역의 의료 인프라를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아주대의료원 관계자는 “의료원은 보건복지부 의료질평가 3년 연속 최상위 등급 획득, 상급종합병원 4주기 연속 지정, 세계 최고의 병원 평가 국내 7위 등 지난 29년간 쌓은 상급종합병원으로서의 진료 역량과 경험을 평택병원에서 구현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1900여 개 지역사회 협력병원과 전국 7700여 개 진료정보교류사업에 등록된 병의원과의 정보교류·회송시스템을 바탕으로 평택 지역 의료기관과 긴밀한 연계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사회 내 다양한 기업, 연구기관 등과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의료복합클러스터 생태계 조성 등 의료서비스 제공뿐 아니라 지역사회와 함께 상생하며 발전하는 의료기관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번 토지매매계약은 아주대학교 평택병원이 세워질 예정인 평택브레인시티 일반산업단지 내 의료시설용지 약 1만2000평이다. 아주대의료원은 이번 병원 부지 매입을 위한 계약을 체결하면서 설계 착수 등 병원 건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아주대의료원은 평택시와 지난 2018년, 2019년 병원 건립을 위한 1,2차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이후 2021년 8월 브레인시티 내 의료복합타운 민간사업자 공모에서 우선협상대상자(아주대병원 - ㈜투게더홀딩스 컨소시엄)로 선정됐으며, 2022년 3월 ‘아주대학교 평택병원’ 건립을 위한 이행협약을 체결했다.
평택시는 인구 58만 명의 대도시로 고덕국제신도시·브레인시티 일반산업단지 조성 등 인구 유입이 예상된다. 아주대병원이 건립되면 상급종합병원급 의료서비스 혜택이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주대학교 평택병원은 2030년 초 개원이 목표다. 500병상 규모의 친환경·최첨단 스마트 인텔리전트 종합병원으로 건립할 계획이다. 또 감염병, 분만, 소아 환자, 중증응급·외상질환 등 지역 내 필수의료분야와 상대적으로 취약했던 암·난치성 중증질환에 주력할 예정이다. 더불어 수원에 위치한 본원과 긴밀히 협력해 경기 남부권역의 의료 인프라를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아주대의료원 관계자는 “의료원은 보건복지부 의료질평가 3년 연속 최상위 등급 획득, 상급종합병원 4주기 연속 지정, 세계 최고의 병원 평가 국내 7위 등 지난 29년간 쌓은 상급종합병원으로서의 진료 역량과 경험을 평택병원에서 구현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1900여 개 지역사회 협력병원과 전국 7700여 개 진료정보교류사업에 등록된 병의원과의 정보교류·회송시스템을 바탕으로 평택 지역 의료기관과 긴밀한 연계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사회 내 다양한 기업, 연구기관 등과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의료복합클러스터 생태계 조성 등 의료서비스 제공뿐 아니라 지역사회와 함께 상생하며 발전하는 의료기관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