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질환

술 먹고 필름 자주 끊기는 사람… 꼭 보세요

신소영 기자

이미지

필름이 끊길 정도로 과음하는 습관이 반복되면 알코올성 치매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술을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흔히 ‘필름이 끊기는’ 증상을 경험할 때가 있다. 술에 취해 일정 시간 동안 있었던 일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블랙아웃’ 증상이 나타나면 당시 상황이 위험할 뿐만 아니라, 반복되면 알코올성 치매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젊은 나이라도 예외는 없다.

알코올성 치매는 술의 독소가 반복적으로 뇌를 공격해 생기는 치매를 뜻한다. 전체 치매 환자의 10% 정도를 차지한다. 알코올은 기억을 담당하는 뇌의 기관인 해마를 마비시키고 찌그러뜨린다. 이로 인해 기억력이 감퇴하고 뇌 속 빈 공간이 커져 치매를 유발하는 것이다. 또 알코올은 뇌를 보호하는 혈뇌장벽을 쉽게 통과해 뇌세포를 파괴하고 뇌 기능도 저하시킨다.


실제로 술을 마시고 한 번 이상 필름이 끊긴 경험이 있다면 약 10년 후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연구팀이 13만 141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술을 마시고 필름이 끊긴 일이 1번 이상인 남성은 치매 걸릴 위험이 최대 3배, 여성은 2배 이상으로 높았다. 연구팀은 필름이 끊기는 현상이 지속되면 뇌세포를 손상시키는 신경전달물질 ‘글루타메이트’가 많이 분비돼 치매에 걸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건강을 위해서 음주는 아예 하지 않는 것이 좋겠지만, 꼭 먹어야 한다면 절대 필름이 끊길 때까지 과음하지 않아야 한다. 특히 술을 빠르게 마실 때, 공복에 마실 때, 높은 도수의 술을 마실 때 필름 끊김 현상이 잘 발생한다. 전문가가 권장하는 음주량은 일주일에 3회 미만, 남자는 소주 2분의 1병, 여자는 4분의 1병 이하로 마시는 것이다. 술을 마실 때는 물을 충분히 마시고, 고기와 채소, 과일로 구성된 안주를 먹으면 알코올 흡수를 늦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코올로 손상된 간이 회복하는 데는 3일 정도 걸리므로, 최소 3~4일 이상 간격을 두고 술자리를 갖는 게 좋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