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이 농담처럼 많이 하는 말 중이 '회사 다니고 나서 성격 나빠졌다', '회사생활로 성격 달라진 건 산재'라는 얘기다. 실제로 많은 직장인이 사회생활을 시작한 이후 이전과는 성격이 달라짐을 느낀다. 일부는 주변인이 이상함을 느낄 정도로 성격이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사람은 적응의 동물이라 회사생활을 하며 성격이 달라지는 건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자신이 느끼기에도 성격이 부정적으로 변하고, 주변에서도 '성격이 나빠졌다'고 얘기할 정도라면, 정신건강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을 의심해보자.
◇성격변화, 불안·우울 영향 '적응 장애' 일수도
주변에서 회사 생활 이후 '성격이 나빠졌다'고 얘기할 정도라면, 적응장애를 의심할 필요가 있다. 불안이나 우울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정신건강을 유지하지 못한 결과, 성격에 변화가 생긴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적응장애란 개인의 평정심이나 정서의 기본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사건이 해결됐음에도 안정을 찾지 못하고,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한양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김인아 교수는 "주변인이 회사 생활 이후 이전과 달리 '성격이 나빠졌다'고 평가했다면, 외부 스트레스에 대한 대응력이 낮아져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는 평정심, 정신 건강에 문제가 생긴 상태를 의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성격을 '좋다' 또는 '나쁘다'고 하는 건 성격의 당사자가 아닌 주변인의 주관적인 평가다"며, "불안이나 우울 등으로 인한 성격 변화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직장 동료가 사망하는 걸 보거나 업무 중 죽음위기를 겪는 등 매우 충격적인 사건을 겪지 않았더라도 업무로 인한 적응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직장에서 겪는 스트레스성 사건은 대부분 업무 전환, 부서 강제 전환 배치와 그로 인한 다른 직원과의 갈등, 회사의 명예퇴직 강요, 업무 강요 등의 문제다. 이는 개인의 인생에 매우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개인의 평정심이나 정서의 기본을 유지하기 어려운 사건이라 적응장애도 유발할 수 있다.
김인아 교수는 "일반인들은 직장에서 생긴 정신적 문제를 대부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고 생각하는데, 대부분 회사 생활을 하며 생긴 정신적인 문제는 적응장애나 우울증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만일 주변에서 성격에 대해 얘기를 한다면 진단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람은 적응의 동물이라 회사생활을 하며 성격이 달라지는 건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자신이 느끼기에도 성격이 부정적으로 변하고, 주변에서도 '성격이 나빠졌다'고 얘기할 정도라면, 정신건강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을 의심해보자.
◇성격변화, 불안·우울 영향 '적응 장애' 일수도
주변에서 회사 생활 이후 '성격이 나빠졌다'고 얘기할 정도라면, 적응장애를 의심할 필요가 있다. 불안이나 우울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정신건강을 유지하지 못한 결과, 성격에 변화가 생긴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적응장애란 개인의 평정심이나 정서의 기본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사건이 해결됐음에도 안정을 찾지 못하고,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한양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김인아 교수는 "주변인이 회사 생활 이후 이전과 달리 '성격이 나빠졌다'고 평가했다면, 외부 스트레스에 대한 대응력이 낮아져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는 평정심, 정신 건강에 문제가 생긴 상태를 의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성격을 '좋다' 또는 '나쁘다'고 하는 건 성격의 당사자가 아닌 주변인의 주관적인 평가다"며, "불안이나 우울 등으로 인한 성격 변화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직장 동료가 사망하는 걸 보거나 업무 중 죽음위기를 겪는 등 매우 충격적인 사건을 겪지 않았더라도 업무로 인한 적응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직장에서 겪는 스트레스성 사건은 대부분 업무 전환, 부서 강제 전환 배치와 그로 인한 다른 직원과의 갈등, 회사의 명예퇴직 강요, 업무 강요 등의 문제다. 이는 개인의 인생에 매우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개인의 평정심이나 정서의 기본을 유지하기 어려운 사건이라 적응장애도 유발할 수 있다.
김인아 교수는 "일반인들은 직장에서 생긴 정신적 문제를 대부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고 생각하는데, 대부분 회사 생활을 하며 생긴 정신적인 문제는 적응장애나 우울증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만일 주변에서 성격에 대해 얘기를 한다면 진단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