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뼈 건강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비타민 D 섭취량이 적정 섭취량의 3분의1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개별 식품 중 한국인의 비타민 D 섭취에 기여가 가장 큰 식품은 계란이었다.

동서대 식품영양학과 이현숙 교수팀이 2016∼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세 이상 한국인 2만8418명을 대상으로 비타민 D 섭취 실태를 분석한 결과,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식이 비타민 D 섭취량은 3.1㎍이었다. 이는 비타민 D 적정 섭취량의 33.1%에 불과한 수치다. 비타민 D를 식품을 통해 적정 섭취량만큼 보충하는 비율은 전체의 5.8%에 그쳤다.

식이 비타민 D 섭취는 농촌 거주자·노인·저소득층에서 더 낮았다. 총 식이 비타민 D 섭취에 기여한 주요 식품군(群)은 어패류(61.6%)·계란류(17.8%)·육류(8.0%)·우유(4.3%)·콩류(3.9%)·곡물류(3.8%) 순이었다. 개별 식품 중 비타민 D 섭취량에 가장 기여한 식품은 계란(17.4%)이었다. 오징어(8.5%)·뱀장어(7.44%)·연어(5.4%)·고등어(5.3%)·멸치(4.7%)·조기(4.6%)·돼지고기(4.5%)·두유(4.5%)·가다랑어(3.8%) 등이 뒤를 이었다. 비타민 D 10대 공급 식품 중 7가지가 수산물이었다.


이 교수팀은 논문에서 “비타민 D는 뼈 건강뿐만 아니라 비만·대사 증후군·심혈관 질환·암·당뇨병의 예방, 감염병에 대한 면역 등 다양한 건강상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며 “비타민 D는 햇볕을 받으면 피부에서 합성되지만, 비타민 D가 풍부한 식품의 불충분한 섭취는 비타민 D 결핍 상태를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 연구결과는 한국영양학회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가 공동 발행하는 영문 학술지 최근호에 실렸으며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서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