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츄러스 열풍에는 이유가 있다
이지형 객원기자
입력 2023/06/06 12:30
츄러스 맛집 리스트가 SNS 위로 뜨고 지는 중인데, 서울의 양대 산맥은 아무래도 한남동과 압구정동인 듯하다. 프리미엄 감자칩 브랜드를 표방하는 스페인의 보닐라가 올 초 한남동에 ‘아시아 첫’ 매장을 냈다. 도산공원 근처 미뉴트 빠삐용은 딥초코로부터 화이트크림까지 다양한 소스로 ‘찍먹’ 츄러스의 진수를 선보인다. 여기에 을지로, 대학로, 연남동에서도 신진 츄러스 맛집들이 급부상 중이다. 그런데 갑자기 왜 츄러스 열풍일까? 올 게 왔다는 평이다.
◇굽는 빵 vs 튀기는 츄러스·도넛·요우티아오
기름에 튀긴 밀가루 반죽과 음료의 조합은 생각보다 글로벌하게 퍼져 있다. 세계인의 공통된 취향이다. 멀지 않은 대만의 골목들부터 떠올려보라. 요우티아오(油條)와 또우장(豆漿)의 조합은 흔한 아침 식사다. 요우티아오는 밀가루 반죽을 늘어뜨려 기름에 튀겨 만든다. 기다란 모양은 츄러스와 흡사하다. 다만 설탕과 시나몬을 뿌리는 츄러스와 달리, 밀가루 반죽을 튀긴 그대로 담백하게 먹는다. 대만식 두유에 해당할 또우장에 찍어 먹는 요우티아오는 ‘츄러스+핫쵸코’ 조합만큼 별미다. 이른 아침, 식탁에 놓인 크루아상과 커피의 조합도 떠오른다.
역사적으로 요우티아오가 츄러스의 원형이라 주장하는 이들이 있다. 중국계 요리가 포르투갈을 거쳐 스페인으로 건너갔단 얘기다. 불확실한 전승 사연은 잊어도 좋다. 지구 곳곳엔 츄러스 풍의 밀가루 튀김 식사가 흔하다. 도넛이 전형적이다. 밀가루에 설탕, 버터, 계란을 넣어 반죽한 뒤 링 모양으로 튀기면 도넛이다. 지역에 따라 구멍 내는 걸 생략하기도 한다. 한쪽에 밀가루 반죽을 구워 만든 빵이 있다면, 다른 한쪽에 밀가루 반죽을 튀겨 만든 도넛, 츄러스, 요우티아오 연합군이 있다.
스페인에선 아침 식사, 심지어 해장 음식으로 ‘츄러스+초콜릿 소스’ 조합을 활용한다. 건강엔 좋을 게 없지 않을까? 걱정하는 쪽에선 칼로리부터 문제 삼는다. 100g에 400kcal를 얘기한다. 100g이면 츄러스 1개 또는 2개다. 주성분인 밀가루에 설탕을 넣고 또 뿌리니 혈당 관리에 좋을 게 없단 얘기도 한다. 버터 때문에 지방 함량도 만만치 않다. 반론도 있다. 밀가루 반죽에 계란이 들어가 혈당 급상승을 저지한다. 설탕은 취향에 맞춰 뿌리지 않으면 그만이다. 함께 먹는 초콜릿 소스에도 당은 많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