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C형 간염 선별검사가 비용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공개됐다. /질병청 제공
수년째 C형 간염 국가건강검진 도입 논의가 진행 중인 가운데 C형 간염 선별검사만 해도 건강보험 재정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간 관련 사망 위험을 대폭 낮출 수 있다는 최신 연구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공동 수행 중인 다기관 ‘한국 C형 간염 코호트 연구(2015~현재)’ 자료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활용한 연구 결과, 다기관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통해 C형 간염군에서 항바이러스제 치료시 간암 및 간경변증 발생이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C형 간염을 치료한 이들은 미 치료군보다 간암 또는 간 관련 사망 위험이 각각 59%, 74% 낮았다.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국가 검진 항목에 C형 간염 검사를 추가할 경우, 건강보험 재정을 절약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보면, C형 간염 항체검사를 40~65세 인구를 대상으로 1회 선별검사를 시행할 경우, 선별검사를 하지 않았을 때보다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약 355만원 절감)이다.

이에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C형 간염 퇴치목표 달성을 위해 제1차 바이러스 간염 관리 기본계획(2023-2027) 이행과 관련 연구결과를 반영해 국가건강검진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