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취통증의학과
뻐근한 목·어깨, 어떤 파스 붙여야 풀릴까?
신은진 기자
입력 2023/05/30 08:30
◇성분 달라도 통증 완화 효과 비슷… 피부 민감하면 먹는 약 대안도
파스는 성분이 매우 다양해 선택이 어렵다 느낄 수 있으나, 모두 염증을 억제하고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는 비슷하다. 통증·염증을 해결하는 방식이 다를 뿐이다. 피부에 붙이는 첩부제 형태 파스의 주요 성분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반대자극제 ▲생약이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염증의 진행을 억제해 통증을 완화한다. 케토프로펜, 플루비프로펜, 디클로페낙, 록소프로펜 등이 이에 해당한다.
반대자극제는 파스를 붙인 부위의 혈관을 확장시키며 통증의 역치를 높이는 방식으로 진통 효과를 낸다. 살리실산메틸,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멘톨, 캄파, 캡사이신 등이 반대자극제 계열 성분이다.
파스에 사용되는 생약 성분으로는 치자, 황백 등이 있다. 생약이 포함된 파스들은 해당 부위의 온도를 낮추거나 찜질효과를 통해 혈액순환을 도와 염증과 통증을 해결한다.
첩부제 파스는 제형 특성상 종종 피부를 자극한다. 만일 첩부제 형태 파스를 사용할 때 피부가 가렵거나 심하게 화끈거려 불편하다면, 성분을 살펴 특정 성분 제품을 피하거나 진통제를 복용하는 게 좋다.
피부가 민감하다면 노닐산바닐릴아미드, 캄파 등의 성분이 든 파스는 피하는 게 좋다. 이 성분들은 알레르기 유발 빈도가 높은 편이다. 첩부제(플라스타)보다 피부 자극이 적은 습포제(카타플라스마) 제형 파스를 선택하는 방법도 있다.
파스를 붙이거나 바르기만 해도 알레르기가 생긴다면 경구형 소염진통제나 근육이완제를 복용하는 게 낫다.
다만, 파스의 종류는 굉장히 다양하므로 적절한 제품을 선택하고 싶다면 약사의 상담을 받길 권한다. 상담을 통해 더욱 효과적이고 안전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