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의학칼럼] 지속적인 팔꿈치 통증, 방치하면 만성질환 될 수도…

새움병원 정형외과 정우성 원장

이미지

새움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정우성 원장
테니스엘보는 팔꿈치 바깥쪽 돌출된 부위 인대에 미세한 파열이 생겨 통증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테니스를 많이 치는 사람에게 주로 나타난다고 해 붙은 별칭으로, 정확한 진단명은 외측상과염이다.

질환 이름 때문에 운동 선수 또는 테니스를 즐겨하는 사람들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손목과 팔을 반복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주부나 사무직 근로자, 미용사 등에서도 쉽게 발병해 주의가 필요하다.

테니스엘보가 발병하면 초기에는 가벼운 통증만 느껴지다가 시간이 흐를수록 통증이 더욱 악화된다. 계속 방치하면 밤에 잠을 자기 힘들 정도로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고 세수, 머리 빗기 등 가벼운 일상생활도 어려워진다.

특히 손목을 손등 쪽으로 펴는 동작을 할 때 증상이 심해지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팔을 비트는 동작, 주부의 경우 빨래나 행주를 짤 때 통증이 발생해 평소 손쉽게 하던 행동에 제약이 생기고, 심한 경우에는 팔을 들어 올리지 못하는 경우에 이를 수 있다.


테니스엘보는 제때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만성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의 경우 약물치료나 물리치료를 통해 통증을 완화하고 증상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비수술치료에도 효과가 없거나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극심한 통증이 지속된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테니스엘보 수술은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건의 변연절제술 및 유리술을 시행한다. 손상된 부위에 1cm 미만의 미세한 절개를 통해 정밀한 초소형 카메라와 레이저 수술기구가 탑재된 관절내시경을 삽입한 후 관절의 상태를 모니터로 관찰하고 관절 속에서 손상된 연골을 치료한다. 수술 시 관절의 상태를 모니터를 통해 정밀하게 수술 부위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치료가 가능하다. 수술 시간도 비교적 짧고 회복 기간도 빨라 환자에게 수술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서 이런 내시경 치료를 하는 것은 아니고 심한 경우 절개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테니스엘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생활습관 개선이 가장 중요하다. 무리한 가사노동이나 과격한 운동 등 팔꿈치를 반복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동작을 삼가고 충분한 휴식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어깨와 팔의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고, 팔의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 이 칼럼은 새움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정우성 원장의 기고입니다.)​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좎떬�낅츩�브퀗�h땻占� �좎럩裕놅옙��쇿뜝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