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덥다고 찬물 샤워? ‘이런 사람’은 절대 안 돼

전종보 기자

이미지

사진= 클립아트코리아
요즘처럼 갑작스럽게 기온이 오를 때면 찬물 샤워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 세수를 하거나 머리를 감을 때 뿐 아니라 샤워 자체를 찬물로 한다. 그러나 건강을 생각한다면 미지근한 물로 씻는 것이 좋다. 특히 심장질환자는 찬물 샤워를 삼가야 한다.

더울 때 몸에 찬물을 뿌리면 피부 온도가 잠시 내려가는 것은 맞다. 다만 효과는 일시적이다. 피부 온도가 떨어져도 피부 혈관이 수축·확장하면 금방 체온이 오른다.

심혈관질환자와 같이 심장이나 혈관 건강이 좋지 못한 사람은 더욱 주의할 필요가 있다. 체온이 상승한 상태에서 갑자기 찬물이 닿으면 혈관이 수축하고 혈압이 급격히 높아질 수 있다. 수영장이나 바다, 계곡 등에 갔을 때 물에 들어가기 전 준비운동을 하고 심장과 먼 곳부터 찬물로 몸을 적시는 것도 이 때문이다.


간혹 취침 직전 찬물 샤워를 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 역시 지양해야 할 행동이다. 찬물이 몸에 닿으면 중추신경이 흥분해 잠들기 어려울 수 있다. 지나치게 뜨거운 물로 씻는 것도 좋지 않다. 이미 체온이 높아진 상태에서 뜨거운 물로 샤워하면 열이 가중돼 교감신경이 과활성화되고, 각성효과로 이어져 혈압이 상승할 수 있다. 이는 숙면을 방해하는 원인이 된다. 여름철 운동 후 체온이 오르고 근육통까지 있는 상태에서 뜨거운 물로 샤워하면 염증 반응으로 인해 통증이 악화될 위험도 있다.

높아진 몸의 온도는 미지근한 물로도 충분히 낮출 수 있다. 미지근한 물로 씻으면 심장에 무리가 될 위험 또한 적다. 미지근한 물은 근육의 피로물질인 젖산의 분해를 촉진하는 효과도 있다.

찬물로 씻고 싶다면 심장과 거리가 멀고 근육이 밀집한 엉덩이·허벅지 등 하체에만 물을 끼얹는 게 좋다. 엉덩이·허벅지에 찬물을 뿌리면 열 스트레스가 누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심장에도 무리가 되지 않는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