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겨드랑이에 ‘이 증상’ 생겼다면… 무좀균 옮은 것?

이채리 기자

이미지

땀이 많이 나고 환기가 안 되는 겨드랑이에도 곰팡이 균이 쉽게 감염된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무좀은 발에만 나타날까? 무좀의 정확한 정의는 곰팡이 균 감염으로 나타나는 피부 질환이다. 곰팡이 균에도 여러 종류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활발하게 증식한다. 발뿐만 아니라 습한 겨드랑이에도 생길 수 있다.

◇습한 겨드랑이, 말라세지아 효모균 감염 취약
땀이 많이 나고 환기가 잘 안되는 겨드랑이는 곰팡이 균에 쉽게 감염된다. 이 경우 발 무좀처럼 ‘무좀’이라는 병명을 사용하진 않고, 겨드랑이 곰팡이 균 감염 정도로 부른다. 원인균에 따라 백선, 칸디다증, 어루러기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에서도 말라세지아 감염으로 나타난 곰팡이 균 감염을 어루러기라고 부른다. 겨드랑이의 곰팡이 균 감염의 대부분은 말라세지아라는 효모균에 의해서 이뤄진다. 말라세지아는 정상적인 피부에도 존재하는데, 지방을 좋아하기 때문에 피지선이 많이 분포된 곳에 번식한다. 중앙대병원 피부과 김범준 교수는 “겨드랑이는 털이 있기 때문에 모낭과 피지선이 많이 분포한다”며 “말라세지아는 외부 유입 균은 아니지만 피지선과 땀샘의 분비가 활발해지는 더운 환경에 노출되거나 피부 면역력이 떨어지는 상황일 때 겨드랑이에서 과증식해 곰팡이 균 감염의 일종인 어루러기를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어루러기는 말라세지아가 피부 각질층에 과다 증식해 나타나는 질환으로 얼룩덜룩한 반점과 함께 심한 가려움을 일으킨다. 겨드랑이에 어루러기가 나타나면 원형의 연한 황토색, 황갈색, 또는 적갈색의 병변이 생긴다.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지만 가벼운 가려움증이 나타날 수 있다. 김범준 교수는 “극심한 비만인 경우 겨드랑이에 고온 다습한 환경이 조성되기 쉽고, 옷과의 마찰에 의한 미세 상처가 쉽게 생기기 때문에 곰팡이 균 감염에 취약하다”고 말했다.


◇항진균제 꾸준히 사용하면서 치료해야
겨드랑이 곰팡이균 감염을 진단할 때는 육안으로 피부 병변을 확인하고, 인설이 있는 경우 피부 병변을 긁어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치료는 테르비나핀 등의 항진균제를 사용해서 진행한다. 보통 하루 2번 2~4주 이상 병변과 주변 피부에 항진균제를 발라준다. 다만, 약은 꾸준히 사용해야 한다. 김범준 교수는 “바르는 약의 경우 1주일 정도 사용하면 표피에 있던 곰팡이 균이 어느 정도 죽어 증세가 약화되나, 꾸준히 바르지 않으면 곰팡이 균의 포자가 여전히 남아 추후 재발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바르는 약만으로 효과가 충분히 나지 않으면 경구 항진균제를 2~4주간 복용해야 된다.

◇가족 간 옷과 수건 구분해 사용하기  
겨드랑이 곰팡이 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항상 겨드랑이를 건조하고, 시원한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특히 겨드랑이를 깨끗이 씻고 난 후 잘 말려주는 게 중요하다. 꽉 조이는 옷보단 헐렁한 반팔처럼 통풍이 잘 되는 옷이 좋다. 옷이나 땀을 흡수해 공기 중으로 발산하는 기능성 의류를 입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외에도 가족 간 전염을 예방하기 위해 옷과 수건을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 감염이 의심될 때는 민간요법에 의존하기보단 신속히 피부과를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통해 치료받아야 한다. 다만, 김범준 교수는 “다한증(과도하게 땀을 많이 흘리는 증상)이 있다면 곰팡이 균 감염 위험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땀 분비 억제제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