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양치해도 입 냄새 나는 사람들, ‘목’ 살펴야 하는 이유

최지우 기자

이미지

치아, 혀가 깨끗한데 입 냄새가 나고 목에 이물감이 느껴진다면 편도결석인지 확인해봐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입 냄새는 자신과 타인에게 불쾌감을 준다. 입 냄새의 주된 원인은 잘못된 구강관리다. 양치질을 한 뒤에도 입 냄새가 난다면 정확한 원인을 찾아야 한다. 무엇일까?

◇양치질 습관 점검을
이를 닦을 때 혀까지 꼼꼼하게 닦는 습관을 들여야 입 냄새를 줄일 수 있다. 혀는 표면에 침, 주름이 많아 세균이 증식하기 쉬워 구취, 치주질환을 유발한다. 부드러운 칫솔이나 혀 클리너를 사용해 혀 안쪽부터 바깥쪽까지 3~4회 쓸어내리는 것을 반복하면 된다. 이때 혀를 너무 세게 닦으면 혀에 상처가 나 입 냄새가 심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양치 후에는 섭씨 45~50도 정도의 따뜻한 물로 입을 헹구는 게 좋다. 따뜻한 물로 양치를 하면 치약 세정제 성분이 잘 녹아 치태가 제거되고 구취가 완화된다. 양치 후 각각 따뜻한 물(섭씨 50도), 미지근한 물(섭씨 35도), 찬 물(섭씨 20도)로 헹군 결과, 따뜻한 물이 가장 치태, 구취 제거에 효과적이었다는 강릉영동대 연구도 있다.

◇편도결석
양치질을 꼼꼼히 했는데도 입 냄새가 난다면 편도결석인지 확인해봐야 한다. 편도결석은 편도선의 구멍에 음식물 찌꺼기, 세균이 뭉쳐 생기는 좁쌀 크기의 덩어리다. 편도염, 비염, 부비동염, 구강위생 불량 등이 주원인이다. 치아, 혀가 깨끗한데도 입 냄새가 나며 목에 이물감이 느껴지고, 입 안에서 노란 알갱이가 나오는 경우 편도결석을 의심해볼 수 있다. 병원에 내원해 편도결석을 제거하면 입 냄새가 사라진다.


◇소화기 질환
위식도 역류질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에 의한 위염, 위궤양, 위암 등의 질환이 있는 경우, 입 냄새가 난다. 위산과 함께 음식물이 역류하면 입 냄새를 유발하고, 이로 인해 구강 내 세균이 증식하면 냄새가 악화된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위 점막에 사는 세균으로 휘발성 황화합물을 생성해 입 냄새의 원인이 된다. 소화기 질환에 의해 입 냄새가 난다면 과식, 폭식, 기름진 음식 섭취를 자제하고 음식물이 소화되기 전에 눕는 행동은 피해야 한다. 병원에서 원인 질환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도 중요하다.

◇당뇨병
당뇨병도 입 냄새의 원인 중 하나다. 혈당 조절이 잘 안 되면 몸에서 포도당 대신 지방산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이때 케톤산 물질이 많이 생성돼 숨 쉴 때 배출되며 과일 냄새나 아세톤 냄새가 느껴지기도 한다. 이는 당뇨병 합병증인 ‘당뇨병성 케톤산혈증’의 증상으로 병원에 내원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

◇생활습관 바꿔야
입을 건조하게 하는 습관도 입 냄새를 유발해 주의해야 한다. 식사를 거르거나 여러 번 씹지 않고 삼키는 등의 습관이 대표적이다. 침이 잘 분비되지 않으면 입이 말라 혐기성 세균이 증식해 입 냄새가 난다. 물을 충분히 마셔 입이 메마르지 않게 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침을 증발시키는 술, 담배도 자제해야 한다.


�꿔꺂��옙占쎌삕占쎈낌�뺧옙醫묒삕 �좎럡�쀯옙��쇿뜝占�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좎럩伊숋옙��숋옙�녿쫯�좎럥�뺧옙��삕影��덈튉占쎌쥜�� �좎럩伊숋옙�듭쭍占쎈굞�뺝뜝�숈삕占쎌슜�삼옙醫묒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