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흔한 거북목? 방치하면 목 ‘이렇게’ 변할 수도

전종보 기자

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거북목을 방치하면 뒷목 뼈가 볼록 튀어나오는 ‘버섯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버섯증후군은 목뼈가 심하게 변형되면서 나타나는 문제로, 목뿐 아니라 어깨까지도 통증이 느껴질 수 있다.

정상적인 목뼈는 앞쪽을 향해 ‘C자’ 곡선을 띠지만, 잘못된 자세 때문에 목 중심이 앞으로 나오면 ‘1자’ 또는 ‘역 C자’ 곡선 형태로 변형된다. 이를 ‘거북목’ 또는 ‘일자목’이라고 한다. 버섯증후군은 이 상태에서 악화돼 뒷목 아래 경추 7번 뼈 일부가 돌출된 상태로, 뒷목 일부가 혹처럼 볼록 튀어나온다. 튀어나온 모양이 나무에 자란 버섯과 비슷해 버섯증후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뒷목과 척추 사이 뼈가 튀어나왔거나 목 뒤에 살이 붙고 어깨가 자주 결린다면 버섯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 근육통과 함께 목과 어깨가 뻐근할 수 있으며, 두통이 동반되기도 한다. 목·어깨 주위 근육이 굳으면 뇌 혈액 공급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심한 경우 증상을 오랜 기간 방치해 목 디스크로 이어질 위험도 있다.


거북목이나 버섯증후군을 겪지 않으려면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의자에 앉을 때는 등받이에 등을 붙이고 어깨를 젖혀 가슴을 펴도록 한다. 허리를 바르게 세우고 목은 뒤로 당겨준다. 스마트폰·PC 모니터는 눈높이를 화면 상단에 맞춰야 하며, 화면과 30~45cm 거리를 두는 게 좋다. 모니터가 시선보다 아래에 있으면 목이 앞으로 나오면서 거북목을 유발할 수 있다.

주기적인 목, 어깨 근육 스트레칭도 거북목·버섯증후군 예방에 도움이 된다. 깍지를 끼고 엄지손가락으로 턱 밑을 받친 후 천천히 고개를 들어올린다. 이후 다시 손깍지를 뒤통수에 대고 고개를 숙인다. 위·아래 스트레칭을 마친 뒤에는 한쪽 손끝을 반대쪽 귀에 댄 후 고개를 옆으로 기울이며 눌러준다. 양쪽을 번갈아 눌러주고 대각선 방향으로도 눌러준다. 머리 위에 얹지 않은 한쪽 손을 아래로 뻗으면 승모근 긴장을 푸는 데 도움이 된다. 모든 자세는 등을 제대로 편 상태에서 5~10초간 유지해야 한다.


이미지

거북목을 방치하면 뒷목 아래 경추 7번 뼈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사진= 헬스조선DB



占쎄퓭爰귨옙占쎌삕�좎럩�뺝뜝�덈굦占쎈벨�숅넫臾믪굲 占쎌쥙�∽옙��삕占쏙옙�용쐻�좑옙 占쎌쥙�⒳펺�뗭삕�앾옙�뗭삕占쎄퉮援꿨뜝�뚯쪣占쏙옙

�좎럩伊숋옙��숋옙�녿쫯�좎럥�뺧옙��삕影��덈튉占쎌쥜�� �좎럩伊숋옙�듭쭍占쎈굞�뺝뜝�숈삕占쎌슜�삼옙醫묒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