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 재발 예측을 위한 종양 크기 비율과 AJCC병기분류시스템 연구

중앙대병원 비뇨의학과 최세영 교수가 ‘2023년 제31회 대한전립선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최세영 교수는 국제학술지 ‘암 연구 및 임상 종양학 저널’에 게재된 ‘병리학적 T2 전립선암 환자의 생화학적 재발을 예측하기 위한 종양 크기 비율과 미국암공동위원회 병기분류 시스템’ 연구 논문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최세영 교수는 이번 논문에서 미국암공동위원회(AJCC)의 병기 결정 시스템 7판에 있었던 병리학적 T2의 세부분류가 8판에서 삭제된 배경을 검토하며 이와 같은 결정이 합당함을 확인했다. 기존 세부분류의 대안으로 종양 크기 비율에 따른 병기 결정 방법도 제안했다.
최세영 교수는 “암의 병기 분류는 예후를 예측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암공동위원회(AJCC) 분류시스템은 전립선암의 병기를 결정하는데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방법이지만 병리학적 T2 전립선암의 하위분류에 있어 논란이 일었고, 이에 AJCC8판에서 삭제됐다”고 말했다.
이어 최세영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종양 크기 비율에 따른 병기 결정 시스템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했다”며 “예후 예측에 보다 합리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세영 교수는 중앙대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국군일동병원 비뇨의학과 과장, 서울아산병원 임상조교수를 거쳐 현재 중앙대병원 비뇨의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립선암 등 비뇨기종양 및 로봇수술 분야에서 각종 연구 학술상을 수상하는 등 탁월한 연구 업적을 인정받고 있다.
최세영 교수는 국제학술지 ‘암 연구 및 임상 종양학 저널’에 게재된 ‘병리학적 T2 전립선암 환자의 생화학적 재발을 예측하기 위한 종양 크기 비율과 미국암공동위원회 병기분류 시스템’ 연구 논문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최세영 교수는 이번 논문에서 미국암공동위원회(AJCC)의 병기 결정 시스템 7판에 있었던 병리학적 T2의 세부분류가 8판에서 삭제된 배경을 검토하며 이와 같은 결정이 합당함을 확인했다. 기존 세부분류의 대안으로 종양 크기 비율에 따른 병기 결정 방법도 제안했다.
최세영 교수는 “암의 병기 분류는 예후를 예측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며 “미국암공동위원회(AJCC) 분류시스템은 전립선암의 병기를 결정하는데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방법이지만 병리학적 T2 전립선암의 하위분류에 있어 논란이 일었고, 이에 AJCC8판에서 삭제됐다”고 말했다.
이어 최세영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종양 크기 비율에 따른 병기 결정 시스템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했다”며 “예후 예측에 보다 합리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세영 교수는 중앙대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국군일동병원 비뇨의학과 과장, 서울아산병원 임상조교수를 거쳐 현재 중앙대병원 비뇨의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립선암 등 비뇨기종양 및 로봇수술 분야에서 각종 연구 학술상을 수상하는 등 탁월한 연구 업적을 인정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