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충분한 치료를 받았다면, 턱관절 장애가 재발할 확률은 낮다. / 게티이미지뱅크
음식을 먹거나 말을 할 때 입을 조금만 크게 벌려도 턱이 얼얼하고, 턱에서 '딸각' 소리가 나거나, 모래 갈리는 소리가 나는 이들이 있다. 턱이 아픈 것도 슬픈데 두통과 이명까지 더해져 늘 신경이 곤두서 있는 이들도 많다. 턱관절이 아프면 여러 가지로 피곤하다. 그렇지만 턱관절 장애는 치료해도 금세 재발한다고 해 치료가 망설여진다. 정말 턱관절은 치료 하나마나 한 부위일까?

◇제대로 치료하면 완치 가능
턱관절 장애에 대한 수많은 오해 중 하나가 '재발이 잦아 치료가 필요 없다는 것'이다. 국내외 임상연구를 보면, 턱관절 장애 환자 90% 이상은 1~2년 정도의 치료를 받은 후 완치 판정을 받는다. 이때 완치란 '증상이 더는 반복되지 않고 통증이 없으면서, 기능이 완전히 회복됐을 때'를 말한다.

확실하게 치료를 끝냈다면 턱관절 장애가 재발할 우려는 낮다. 경희대 치과병원 구강내과 이연희 교수는 "골절로 인해 깁스했다가 풀었을 때 다시 뼈가 어긋날까 봐 크게 걱정하지 않는 것과 같다"며, "치료를 통해 충분한 턱관절 구조변화가 일어났다면, 재발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치료법 다양한 턱관절 장애
턱관절 장애의 치료는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분류한다. 비수술적 치료엔 인지치료, 약물치료, 물리치료, 교합안정장치치료, 주사치료. 수술적 치료엔 관절낭세정술, 절제술, 치환술 등이 있다. 치료방법은 증상이 얼마나 오래됐는지, 급성인지 만성인지, 통증의 범위는 어떤지 등을 고려한 다음 결정된다.

치료방법은 다양하지만, 일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턱관절 장애 치료는 수술 없이 완치할 수 있다. 턱관절 협착이나 골 관절증이 있는 경우, 골종양 제거 등이 필요한 경우 등에만 수술을 시행한다.  원칙적으로 턱관절 장애는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치료한다. 턱관절 장애 환자의 95%가 비수술적 치료를 받는다. 단순한 턱관절 통증, 개구제한(입을 벌리기 어려움)이 있는 환자의 경우, 비수술적 치료법의 성공률이 100%에 가깝다.

턱관절 장애는 되도록 빨리 치료를 시작하는 게 좋다. 턱관절 장애가 오래되면 주변 근육통이 더 심해지는 건 물론이고, 걱정장애나 불안장애까지 동반된다. 청소년 환자는 교합이상이나 안면 비대칭이 발생할 수 있다. 턱관절 장애는 악화와 완화가 반복되는 경향이 있어 치료하지 않아도 운 좋게 간혹 저절로 낫기도 하나, 증상이 심화하는 경우도 많다. 문제가 생겼다면 전문의를 찾아가 치료를 시작하길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