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식이·운동·약 아니다… 고도비만 유일한 치료법은?

이금숙 기자

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비만 치료의 기본은 식이 조절과 운동이고 보조적으로 약물을 쓸 수 있지만, 고도비만이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비만대사수술은 고도비만에 대해 지금까지 의학계가 인정한 가장 확실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이미 1991년 미국국립보건원(NIH)은 고도비만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비만대사수술을 꼽았다 (외과)에게 비만대사수술의 효과와 안전성, 수술 후 건강관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모든 질병의 뿌리 ‘비만’
비만은 외상이나 감염질환을 제외하곤 모든 질환의 뿌리라고 할 수 있다. 비만한 사람치고 대사질환이 없는 경우는 거의 없을 정도이며, 고도비만이 되면 대부분의 환자에서 이상지질혈증이나 지방간이 나타나고 여기에 당뇨병 유병률도 40~50% 정도 된다. 또한 고혈압, 심장질환, 수면무호흡증과 척추·관절질환의 원인이 되며, 암의 발생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정신과적으로 우울증이나 우울감도 따라올 수 있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에서 비만대사수술센터 최성일 교수는 “특히 고도비만의 경우에는 단순히 다이어트나 약물로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때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비만대사수술을 권하게 된다”며 “비만대사수술은 장기적이고 충분한 체중 감소를 유도하며 이를 통해 비만과 관련된 동반 질환을 개선·치료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했다. 여러 연구에서 비만대사수술을 받은 환자군이 비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군에 비해 지속적이며 월등히 많은 체중감량 효과가 있었고, 비만관련 대사질환의 치료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도비만환자나 대사질환 함께 있는 경우 수술 고려
우리나라에서 비만대사수술은 아시아태평양 권고안에 따라 ▲BMI 35kg/㎡ ▲30kg/㎡이면서 동반 대사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수술이 가능하다. 건강보험 혜택도 받을 수 있다. 비만대사수술로는 루와이 우회술과 위소매 절제술이 있다. 체중감량과 대사질환 개선에 효과가 좋은 수술 법이며, 최종 수술 방법의 선택은 다양한 검사 후 결정하게 된다.


최성일 교수는 “비만대사수술은 대부분 복강경 수술이나 로봇수술로 진행되기 때문에 합병증을 최소로 줄이고 회복도 빠르게 당길 수 있다”고 했다. 집도시간은 1시간에서 1시간 반 정도이며, 준비시간이 오래 걸려 마취시간을 포함해 3시간 정도면 끝난다. 수술 전날 입원해서 다음날 수술을 받고 3일 정도 입원한다. 수술 다음날 물을 마시고, 그 다음날에 미음을 먹는다. 퇴원할 때는 뻐근하고 불편하지만 혼자 걸어다닐 수 있다.

최성일 교수는 “영양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기 때문에 드물게 영양실조가 올 수 있다”며 “먹어도 흡수가 안 되고, 설사를 계속하기도 하는데 이럴 땐 식사나 운동 계획이 잘못 됐는지, 합병증이 있는지, 연결부위에 트러블이 있어 영양흡수가 잘 안되는지 등을 꼼꼼히 들여다본다”고 했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다시 체중이 일부 늘어나는 것이다. 최 교수는 “사람은 망각의 동물이라 옛날 습관이 쉽게 나온다”며 “평소 먹던 양이나 방식으로 돌아가지 않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체중과 배둘레, 목둘레 등을 계측해 비만 그래프를 관리해야 한다”고 했다.

◇고도비만 스스로 해결 어려워, 전문의 도움 받아야
일단 고도비만이라는 범주에 들어오면 어떤 방법으로든 체중을 줄이기 어렵다.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다이어트용품과 비만프로그램에 돈을 쏟아 부어도 효과가 없거나 요요현상으로 실패할 수 있다. 그러는 사이 만성질환이 깊어져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최성일 교수는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비만환자는 가능한 빨리 수술을 해야 약을 먹지 않는 단계로 회복할 수 있으며 췌장세포가 망가진 다음에는 수술을 해도 정상회복이 쉽지 않다”며 “고도비만이라면 지금까지 치료효과가 가장 확실하다고 입증된 비만대사수술을 고려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