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년 이후엔 무릎 통증이 심해진다. 약물치료로 호전이 안 되고 고령이나 만성질환 탓에 수술도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럴 땐 내전근관 차단술이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재활의학과 윤승현 교수, 정형외과 박도영 교수 연구팀은 내전근관 차단술의 무릎 통증 감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2018년 8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외래를 방문한 무릎 골관절염 환자 32명을 절반은 내전근관 차단술 환자군, 나머지는 위약 환자군으로 나눠 비교 분석한 것이다.
내전근관 차단술은 무릎의 피부 감각을 담당하는 복재신경이 지나가는 경로(내전근관)에 신경차단술을 적용하는 시술이다. 대개 무릎 통증을 줄이기 위해선 약물치료, 운동치료, 주사치료, 수술 등이 시행된다. 이번 연구 참가자 32명은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해도 통증 조절이 안 되고, 신체기능 저하로 수술이 어려운 경우였다.
연구팀은 두 환자군에서 주사 전, 주사 4주 후 ‘통증 수치평가척도(NRS)’와 신체기능 지표인 ’골관절염 통증 및 기능 설문지(WOMAC)‘의 변화를 확인했다. 그 결과 주사 4주 후 내전근관 차단술을 받은 환자들에서만 통증 수치평가척도와 골관절염 통증 및 기능 설문지 점수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 수치평가척도는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정도라고 평가되는 7.1에서 일상생활이 가능한 수준인 4.9로 감소하기도 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내전근관 차단술은 4주간 효과가 지속되며 스테로이드 사용이 필요 없어 당뇨 환자도 고혈당 위험 없이 시술을 받을 수 있다.
연구의 저자 윤승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무릎 통증이 심하지만 명확하게 통증을 줄일 수 없었던 일부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됐다”며 “이를 통해 보다 많은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국제 환경연구 및 공중보건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에 게재된 바 있다.
아주대병원 재활의학과 윤승현 교수, 정형외과 박도영 교수 연구팀은 내전근관 차단술의 무릎 통증 감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2018년 8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외래를 방문한 무릎 골관절염 환자 32명을 절반은 내전근관 차단술 환자군, 나머지는 위약 환자군으로 나눠 비교 분석한 것이다.
내전근관 차단술은 무릎의 피부 감각을 담당하는 복재신경이 지나가는 경로(내전근관)에 신경차단술을 적용하는 시술이다. 대개 무릎 통증을 줄이기 위해선 약물치료, 운동치료, 주사치료, 수술 등이 시행된다. 이번 연구 참가자 32명은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해도 통증 조절이 안 되고, 신체기능 저하로 수술이 어려운 경우였다.
연구팀은 두 환자군에서 주사 전, 주사 4주 후 ‘통증 수치평가척도(NRS)’와 신체기능 지표인 ’골관절염 통증 및 기능 설문지(WOMAC)‘의 변화를 확인했다. 그 결과 주사 4주 후 내전근관 차단술을 받은 환자들에서만 통증 수치평가척도와 골관절염 통증 및 기능 설문지 점수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 수치평가척도는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정도라고 평가되는 7.1에서 일상생활이 가능한 수준인 4.9로 감소하기도 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내전근관 차단술은 4주간 효과가 지속되며 스테로이드 사용이 필요 없어 당뇨 환자도 고혈당 위험 없이 시술을 받을 수 있다.
연구의 저자 윤승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무릎 통증이 심하지만 명확하게 통증을 줄일 수 없었던 일부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됐다”며 “이를 통해 보다 많은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국제 환경연구 및 공중보건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에 게재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