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메스껍다는 아이, 체한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이슬비 기자
입력 2023/02/23 13:00
어린이가 메스꺼움 등 체한 것 같은 증상을 호소할 때 지속시간이 짧다면 급체일 가능성이 크지만, 증상이 오래 지속된다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보통 역류성 식도염은 야식·음주·흡연 등을 하는 성인에게 주로 나타나, 성인 질환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그러나 최근 학업 스트레스와 자극적이고 기름진 식습관 등으로 소아·청소년 발병률도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2019년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소아·청소년의 위·식도 역류질환 유병률은 약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취학 전 어린이라면 위식도 역류질환일 때 ▲하루 2~3회 이상의 구토 ▲우유나 밥을 먹고 나서 더 불편해하는 증상 등을 보일 수 있다. 취학 후 어린이는 ▲밥을 먹고 난 후 윗배 통증 ▲메스꺼운 증상 ▲지속적인 마른기침 ▲입 냄새 등을 호소한다면 위·식도 역류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경미한 증상을 호소하는 소아·청소년은 대부분 검사가 필요하지 않다. 대부분 약물로 쉽게 증상이 호전된다. 하지만 체중감소, 구토, 토혈 등 위장관 증상이 동반되거나 약물치료를 했는데도 낫지 않는다면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증상에 따라 위내시경 검사, 상부위장관 조영술 검사, 24시간 임피던스 검사, 식도내압검사, 복부 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한다.
강북삼성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은실 교수는 "위·식도 역류질환은 학업 스트레스, 새로운 환경 적응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많아지는 새 학기에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어 보호자의 깊은 관심이 필요하다"며 "위·식도 역류질환을 방치하면 어린이가 오랫동안 불편감을 느낄 수 있고, 다른 질환으로 오인될 수 있기 때문에 소아·청소년 내시경 전문의가 있는 병원에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고 했다.
보통 역류성 식도염은 야식·음주·흡연 등을 하는 성인에게 주로 나타나, 성인 질환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그러나 최근 학업 스트레스와 자극적이고 기름진 식습관 등으로 소아·청소년 발병률도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2019년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소아·청소년의 위·식도 역류질환 유병률은 약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취학 전 어린이라면 위식도 역류질환일 때 ▲하루 2~3회 이상의 구토 ▲우유나 밥을 먹고 나서 더 불편해하는 증상 등을 보일 수 있다. 취학 후 어린이는 ▲밥을 먹고 난 후 윗배 통증 ▲메스꺼운 증상 ▲지속적인 마른기침 ▲입 냄새 등을 호소한다면 위·식도 역류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경미한 증상을 호소하는 소아·청소년은 대부분 검사가 필요하지 않다. 대부분 약물로 쉽게 증상이 호전된다. 하지만 체중감소, 구토, 토혈 등 위장관 증상이 동반되거나 약물치료를 했는데도 낫지 않는다면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증상에 따라 위내시경 검사, 상부위장관 조영술 검사, 24시간 임피던스 검사, 식도내압검사, 복부 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한다.
강북삼성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은실 교수는 "위·식도 역류질환은 학업 스트레스, 새로운 환경 적응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많아지는 새 학기에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어 보호자의 깊은 관심이 필요하다"며 "위·식도 역류질환을 방치하면 어린이가 오랫동안 불편감을 느낄 수 있고, 다른 질환으로 오인될 수 있기 때문에 소아·청소년 내시경 전문의가 있는 병원에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