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임신 중 '이것' 복용, 순산 돕는다
신소영 인턴기자 | 이해나 기자
입력 2023/02/09 13:52
임신 중 비타민D 보충제가 순산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국립보건원 사우샘프턴 생의학 연구센터 연구팀은 비타민D가 분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임신 12주 여성 965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엔 하루에 비타민D 1000IU를, 다른 그룹엔 위약을 복용하게 하고 출산 때까지 지켜봤다.
연구 결과, 비타민D 보충제를 섭취한 그룹은 자연 분만율이 66%로 위약을 먹은 그룹의 58%보다 상당히 높았다. 겸자 분만(집게 모양의 겸자를 이용해 태아의 머리를 잡아당기는 분만 방법) 등 보조 분만율은 비타민D 그룹이 13%로 대조군의 19%보다 낮았다. 분만 후 출혈 또한 비타민D 그룹이 적었다. 다만, 제왕절개 분만은 비타민D 그룹이 21%, 대조군 23%로 거의 비슷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비타민D가 뼈와 치아, 근육 건강에 필요한 체내 칼슘과 인산염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비타민D를 보충하면 골격근 강도가 증가해 자궁 수축력과 복벽, 골반의 근력을 높이는 데도 영향을 줘 자연 분만의 가능성을 높인다. 만약 임신 중 흔한 비타민D 결핍으로 자연분만이 아닌 제왕절개나 도구 분만을 하면 산후 출혈의 위험 또한 더 커질 수 있다.
한편, 임신 중 비타민D 섭취는 순산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아이의 건강에도 좋은 영향을 준다. 영국 사우스햄튼대 연구팀에 따르면 임신 14주부터 출산할 때까지 비타민D 1000IU를 꾸준히 섭취한 임산부의 아이가 그렇지 않은 아이보다 12개월이 됐을 때 아토피 습진 발병률이 낮았다. 또한 임신 중 비타민D와 생선기름을 충분히 섭취하면 이후 태어날 아이에게서 급성 폐쇄성 후두염 발생 위험이 40% 낮아진다는 덴마크 코펜하겐대의 연구 결과도 있다. 영국국가보건의료서비스(NHS)는 비타민D가 태아의 뼈, 치아, 신장, 심장, 신경계 발달에 도움이 된다며 임신 중 비타민D 복용을 권장하고 있다.
다만, 임신 중 5000IU 이상의 지나친 비타민D 보충제 섭취는 오히려 해로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공중보건학회 학술지 '공중 보건 저널(Journal of Public Health)'에 최근 게재됐다.
영국 국립보건원 사우샘프턴 생의학 연구센터 연구팀은 비타민D가 분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임신 12주 여성 965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엔 하루에 비타민D 1000IU를, 다른 그룹엔 위약을 복용하게 하고 출산 때까지 지켜봤다.
연구 결과, 비타민D 보충제를 섭취한 그룹은 자연 분만율이 66%로 위약을 먹은 그룹의 58%보다 상당히 높았다. 겸자 분만(집게 모양의 겸자를 이용해 태아의 머리를 잡아당기는 분만 방법) 등 보조 분만율은 비타민D 그룹이 13%로 대조군의 19%보다 낮았다. 분만 후 출혈 또한 비타민D 그룹이 적었다. 다만, 제왕절개 분만은 비타민D 그룹이 21%, 대조군 23%로 거의 비슷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비타민D가 뼈와 치아, 근육 건강에 필요한 체내 칼슘과 인산염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비타민D를 보충하면 골격근 강도가 증가해 자궁 수축력과 복벽, 골반의 근력을 높이는 데도 영향을 줘 자연 분만의 가능성을 높인다. 만약 임신 중 흔한 비타민D 결핍으로 자연분만이 아닌 제왕절개나 도구 분만을 하면 산후 출혈의 위험 또한 더 커질 수 있다.
한편, 임신 중 비타민D 섭취는 순산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아이의 건강에도 좋은 영향을 준다. 영국 사우스햄튼대 연구팀에 따르면 임신 14주부터 출산할 때까지 비타민D 1000IU를 꾸준히 섭취한 임산부의 아이가 그렇지 않은 아이보다 12개월이 됐을 때 아토피 습진 발병률이 낮았다. 또한 임신 중 비타민D와 생선기름을 충분히 섭취하면 이후 태어날 아이에게서 급성 폐쇄성 후두염 발생 위험이 40% 낮아진다는 덴마크 코펜하겐대의 연구 결과도 있다. 영국국가보건의료서비스(NHS)는 비타민D가 태아의 뼈, 치아, 신장, 심장, 신경계 발달에 도움이 된다며 임신 중 비타민D 복용을 권장하고 있다.
다만, 임신 중 5000IU 이상의 지나친 비타민D 보충제 섭취는 오히려 해로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공중보건학회 학술지 '공중 보건 저널(Journal of Public Health)'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