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탈모 부쩍 심해졌는데… 코로나 감염 때문?

이해나 기자 | 이채리 인턴기자

이미지

중국에서 코로나 확진자들이 심각한 탈모 증세를 호소했다. 이는 스트레스, 고열 등에 의한 일시적 현상이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중국에서 코로나에 확진됐던 이들 중 상당수가 심각한 탈모 증세를 호소하고 있다는 주장이 중국 주요 매체를 통해 보도됐다. 탈모가 롱코비드 증상으로 의심된다는 것인데, 실제 코로나로 인해 탈모가 생길 수 있을까?

코로나 감염이 탈모 위험을 4배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2022년 영국 버밍엄대 연구팀은 영국인 240만명의 건강기록(2020년 1월~2021년 4월)을 분석했다.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들은 확진 이후 최소 12주가 지난 후에 연구에 참여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을 ▲코로나19 감염 이력이 있는 48만6149명 ▲감염 이력이 없는 190만명으로 나눠 증상을 비교했다. 그 결과, 코로나19 감염 이력이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탈모 위험이 4배 높았다. 코로나19 완치자 156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인디애나의대 연구팀 조사에서도 응답자 중 423명(26.9%)이 코로나19 완치 후 탈모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미국피부과학회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진 이후 탈모 증상은 6~9개월 지속될 수 있으며 이는 일시적 현상이다. 모발은 활발히 자라는 생장기를 거쳐 생장기에서 휴지기로 바뀌는 퇴행기, 모발이 빠지는 휴지기 3단계 과정이 3~6년을 주기로 반복된다.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스트레스, 고열 등의 요인으로 많은 성장기 모발이 휴지기 상태로 일찍 전환돼 탈모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성장기와 휴지기를 거치면 다시 성장기가 오기 때문에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일정 시기가 지나면 빠진 머리카락은 다시 자란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