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밀가루 흰색인데… 라면 사리는 왜 노란색?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11/18 01:00
하얀 밀가루로 만든 국수, 우동 사리는 하얗다. 그런데 왜 똑같이 밀가루로 제조한 라면 사리는 노란 걸까?
라면 사리에는 노란색을 띠는 리보플라빈(비타민B2) 성분이 함유됐기 때문이다. 라면이 대중화된 1980년대, 나트륨과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라면은 건강에 안 좋은 식품으로 낙인찍혔다. 이때 라면 제조회사들은 라면만 먹었을 때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인 리보플라빈을 첨가하게 됐다. 리보플라빈은 몸속에서 합성되거나 저장되지 않는 영양소로, 피부 재생 등 각종 대사 과정에 관여한다. 부족하면 입 주변에 홍반, 부종이 생기거나, 입 주변이 갈라지고 쓰린 구순구각염이 나타난다.
라면 사리에 들어가는 면류첨가알칼리제도 면 색을 누렇게 한다. 면류첨가알칼리제는 탄산소듐, 탄산칼슘, 탄산수소소듐, 인산소둠염, 포타슘염 중 1~2종 이상 함유하는 식품첨가물로, 밀가루에 이 성분을 넣으면 찰기가 더해진다.
파스타 면도 노란색인데 라면 사리와는 다른 이유다. 파스타면은 제조과정에서 계란을 추가한다.
한편, 리보플라빈을 추가했어도 라면 자체만으로는 영양성분이 불균형하고 나트륨 함량이 높다. 제조법만 달리해도 더 건강하게 먹을 수 있는데, 면을 끓인 후 물을 한 번 버리고 새로 채워 조리하면 지방은 약 48%, 포화지방은 약 49%, 나트륨은 약 54%씩 감소한다.(한국소비자원) 양파나 양배추를 추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을 줄일 수 있다.
라면 사리에는 노란색을 띠는 리보플라빈(비타민B2) 성분이 함유됐기 때문이다. 라면이 대중화된 1980년대, 나트륨과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라면은 건강에 안 좋은 식품으로 낙인찍혔다. 이때 라면 제조회사들은 라면만 먹었을 때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인 리보플라빈을 첨가하게 됐다. 리보플라빈은 몸속에서 합성되거나 저장되지 않는 영양소로, 피부 재생 등 각종 대사 과정에 관여한다. 부족하면 입 주변에 홍반, 부종이 생기거나, 입 주변이 갈라지고 쓰린 구순구각염이 나타난다.
라면 사리에 들어가는 면류첨가알칼리제도 면 색을 누렇게 한다. 면류첨가알칼리제는 탄산소듐, 탄산칼슘, 탄산수소소듐, 인산소둠염, 포타슘염 중 1~2종 이상 함유하는 식품첨가물로, 밀가루에 이 성분을 넣으면 찰기가 더해진다.
파스타 면도 노란색인데 라면 사리와는 다른 이유다. 파스타면은 제조과정에서 계란을 추가한다.
한편, 리보플라빈을 추가했어도 라면 자체만으로는 영양성분이 불균형하고 나트륨 함량이 높다. 제조법만 달리해도 더 건강하게 먹을 수 있는데, 면을 끓인 후 물을 한 번 버리고 새로 채워 조리하면 지방은 약 48%, 포화지방은 약 49%, 나트륨은 약 54%씩 감소한다.(한국소비자원) 양파나 양배추를 추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을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