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잘 때 혈압 변화 심하면, 뇌 줄어든다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고려대안산병원 신철 교수 연구팀, 1398명 대상 4.3년 추적 관찰

이미지

야간 혈압 변동성이 크면 뇌 용적이 감소하고 인지 능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야간 혈압 변동성이 크면 뇌 용적이 감소하고 인지 능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이 뇌 위축과 인지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혈압 변동성, 특히 야간 수면 중 혈압의 변동성이 뇌 용적과 인지기능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 밝힌 연구는 거의 없었다.

고려대안산병원 의생명연구센터 신철 연구교수, 내분비내과 김난희·유지희 교수 연구팀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을 통해 모집한 1398명의 혈압을 24시간 동안 측정했다. 실험 참가자 평균 나이는 59.7세였고, 남성 참가자가 46%였다. 이후, 뇌 자기공명영상(MRI) 촬영과 신경인지검사를 실시해 야간 혈압 변동성과 뇌 위축·인지기능의 변화 사이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평균 4.3년의 추적 관찰한 결과, 야간 혈압 변동성이 높을수록 전체 뇌 용적은 더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간 수축기 혈압의 높은 변동성은 회백질 부피를 감소했다. 특히 측두엽 회백질 볼륨 감소가 심했으며, 시각적 기억 능력과 언어 유창성 영역의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이 컸다. 야간 혈압 변동성만이 뇌 용적과 인지기능 변화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간 혈압 변동성이나 야간 평균 혈압 수치는 전체 뇌 용적 변화와 연관성이 없었다.

이는 항고혈압제 등을 통한 혈압 조절에도 불구하고 야간 혈압 변동성이 크면 뇌 위축과 함께 인지기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으며 야간 혈압 변동성의 증가가 뇌 손상과 관련된 독립적인 예측 인자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미지

왼쪽부터 고려대안산병원 의생명연구센터 신철 연구교수, 내분비내과 김난희·유지희 교수​./사진=고려대안산병원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야간 변동성 혈압과 관련해 뇌 자기공명영상 데이터와 신경심리검사를 연계한 최초의 대규모 추적 관찰 연구"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야간 혈압 변동성이 뇌 용적 감소와 인지기능 저하의 주요 예측 인자임을 확인했으며, 높은 야간 혈압 변동성이 중년 이후에 급속한 뇌 노화를 예측하는 주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Frontiers in neurology'에 최근 게재됐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