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원인 2위… 의료비용은 '1위 암'보다 많아
높은 혈압에 혈관 내부 손상되면서 발병
공동정범 고혈압·콜레스테롤 함께 관리해야

뇌경색 5년간 의료비용 5000만~2억4000만원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우리나라의 사망원인 1위는 암으로 전체 사망의 26%였으며, 2위 심뇌혈관질환 사망자는 약 17%를 차지했다. 그러나 의료비만 놓고 보면 심뇌혈관질환이 더 크다. 질병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심뇌혈관질환(순환기계 질환)의 연간 진료비는 약 9조4000억원으로 암 진료비 7조원보다 오히려 더 높았다. 심뇌혈관질환은 위급한 상황을 벗어나서 목숨을 건진다고 하더라도 심각한 후유증을 겪을 수 있고, 이는 가정 경제의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례로 뇌경색 발병 후 5년간 지출되는 의료비용을 분석한 결과, 뇌경색 발병 첫 해에 약 3300만원, 뇌경색 환자 1명이 5년간 지출하는 총 의료비는 약 1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분당서울대병원 연구).
심뇌혈관질환 가장 큰 원인은 고혈압
다행히 심뇌혈관질환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같은 선행질환이 있다. 이들 질환 관리를 철저히 하면 심뇌혈관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심뇌혈관질환의 가장 큰 원인을 꼽자면 고혈압이다. 고혈압은 세계 사망 기여도 1위 질환으로, 지속적으로 높은 혈압에 노출되면 혈관 내부가 손상을 입고 좁고 딱딱해지는 동맥경화가 일어나게 된다. 뇌에서는 뇌졸중, 심장에서는 협심증, 심근경색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실제 우리나라의 작년 한 해 고혈압의 주요 합병증 신규 발생자는 총 38만1464명이었으며, 관상동맥질환 20만9692명, 뇌혈관질환 17만8993명, 심부전 13만9396명, 만성 신장질환 8만8887명 등이었다.
고혈압의 위험성 때문에 최근 고혈압 환자의 목표 혈압을 더 낮추는 추세다. 대한고혈압학회는 지난해 지침을 개정했다. 고혈압 환자의 목표 혈압이 140/90(㎜Hg)였지만 개정된 지침에서는 '심뇌혈관질환 고위험 환자군'의 경우 목표 혈압(수축기)을 130/80까지 낮추도록 권고했다. 먼저 합병증이 없는 '단순 고혈압'의 경우 기존과 동일하게 목표 혈압을 140/90 미만으로 유지하면 된다. 현재 합병증은 없지만, '무증상 장기 손상'이 있거나 '심뇌혈관 위험인자'가 여러 개(3개 이상 또는 당뇨병 환자는 1개 이상) 있는 경우에는 목표 혈압을 130/80 미만으로 낮춰야 한다.
고혈압 예방 위해선 콜레스테롤 관리 병행을
고혈압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저염식이 기본이 돼야 한다. 채소, 과일을 충분히 먹는 식단과 함께 주 5회 30분 이상 운동은 기본이다. 이와 함께 콜레스테롤 관리가 병행되어야 한다. 혈관 내막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면 혈관이 좁아지고 딱딱해지면서 혈압을 높이는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고혈압은 콜레스테롤이 더 쉽게 혈관에 쌓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데, 혈압으로 인한 혈관의 상처 부위에 콜레스테롤이 더 쉽게 부착되고 플라크를 형성하면서 혈관은 더욱 좁아지게 된다. 그야말로 고혈압과 콜레스테롤은 심뇌혈관질환을 일으키는 공동정범(共同正犯)이라고 할 수 있다.
관련 연구도 있다. 일본 연구팀에서 약 7만4000명의 데이터를 토대로 15년에 걸쳐 뇌졸중, 관상동맥질환, 뇌출혈 등으로 인한 사망률과 혈압·콜레스테롤 수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대상자들을 혈압·콜레스테롤 수치에 따라 각각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수축기혈압이 160 이상이고 총콜레스테롤이 220(㎎/㎗) 이상일 경우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인 그룹보다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4.39배 더 높았다. 수축기혈압 수치가 20 높아지면 콜레스테롤 정상 수치를 지닌 사람들의 관상동맥질환 사망률은 24% 높아지는 반면, 총콜레스테롤 220 이상인 사람들의 사망률은 52%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높은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는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키며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