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SPC 불매 아니더라도… ‘호빵’ 적당히 먹어야 하는 이유

이해림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호빵엔 밀가루와 당류가 많이 들어있어, 과다 섭취 시 혈당이 급격히 오를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에스피씨(SPC) 그룹 계열사 빵 공장에서 노동자가 사망하며, 해당 그룹에서 생산하는 제품을 불매하는 움직임이 거세다. 날이 추워지면 생각나는 간식인 ‘호빵(찐빵)’도 이를 비껴가지 못했다. 국내 찐빵 시장 과반을 SPC 운영 브랜드인 ‘삼립’과 ‘샤니’가 점유해서다. 불매 운동에 참여할 목적이 아니더라도 호빵은 적당히 섭취하는 게 좋다. 하나둘 집어먹다 보면 앉은 자리에서 여러 개를 해치우기 쉽지만, 호빵은 당 성분과 밀가루가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

◇단팥 호빵 하나가 ‘일일 당류 권장섭취량’ 절반가량 충족

서울시 식생활종합지원센터 자료에 의하면 단팥 호빵 100g엔 평균 23.56g의 당류가 들었다. 성인 일일 당류 권장섭취량인 50g의 약 47%에 달하는 양이다. 고구마 호빵 100g에는 평균 19.65g, 피자 호빵 100g엔 평균 8.99g의 당류가 들어 각각 하루 당류 권장섭취량의 약 39%, 18%를 충족한다. 단팥 호빵 다음으로 많이 먹는 채소 호빵의 당 함량은 피자 호빵과 비슷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시판 채소 호빵들의 총당류는 대부분이 5~7g 사이다. 호빵 하나의 무게는 70~90g 정도다. 단팥이나 고구마가 든 호빵은 하나만 먹어도 일일 권장 섭취량의 상당 부분을 충족하게 된다.


◇정제 탄수화물 과다 섭취하면, 체지방·인슐린 저항성↑

호빵은 절반이 앙금이나 소이고, 나머지 절반이 밀가루 빵이다. 밀가루는 정제 탄수화물이기 때문에 혈당을 급격히 올릴 수 있다. 몸에 지방이 축적되기도 쉬워진다. 혈당이 높아지면 이를 조절하려 췌장에서 인슐린을 대량 분비한다. 혈액 속 당을 세포 내로 흡수시켜 간과 근육에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하는 게 인슐린의 역할이다. 그러나 간·근육에 몸에 저장할 수 있는 글리코겐 양은 한정돼있다. 남은 당은 지방 세포에 중성지방으로 쌓인다. 우리가 흔히 ‘체지방’이라 부르는 지방이다.

체지방이 축적되면 내장지방도 덩달아 는다. 겉보기에 배가 뚱뚱해 보일 뿐 아니라 혈액으로 침투한 지방산이 온몸을 돌아다니며 여러 장기에 악영향을 미친다. 간이나 근육이 인슐린에 잘 반응하지 않아 당이 세포 안으로 잘 들어가지 못하는 문제도 생길 수 있다. 이를 ‘인슐린 저항성’이 생긴 상태라 한다. 인슐린이 효율이 떨어지면 뇌는 인슐린이 부족하다 판단해 인슐린을 더 많이 분비한다. 그럼에도 혈당은 개선되지 않는다. 내장지방이 더 쌓이고 인슐린 저항성은 더 커지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지게 될 수 있다.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