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

'이런 두통' 생기면, 바로 응급실 찾아야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벼락치듯 갑작스럽고 심한 두통과 함께 목 뻣뻣함이 동반된다면 바로 병원을 찾는 게 안전하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두통은 국민 60% 이상이 1년에 한 번 이상 경험할 정도로 흔하다(대한두통학회). 그런데 두통에도 종류가 있다. 곧바로 응급실을 가야 하는 위험한 두통이 있고, 단순 생활습관 관리로 좋아지는 두통도 있다. 위험한 두통과 위험하지 않은 두통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본다.

뇌 문제로 생기는 두통은 생명에 위협을 주거나 신체 장애를 남길 수 있다. 뇌출혈(지주막하출혈) 등 뇌 혈관에 문제가 있거나, 뇌막에 염증이 있거나, 뇌에 종양이 있을 때 생기는 두통이 이에 해당한다. 뇌 문제로 인해 생기는 두통은 ▲벼락치듯 갑작스럽고 심하게 나타나고 ▲목 뻣뻣함이 동반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평소 두통이 있는데, 뭔가 평소와 다른 통증이 나타나도 뇌 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위험한 두통은 뇌 MRI로 확인 가능하며, 해당 뇌 질환을 치료하면 나을 수 있다.


스트레스·피로·알코올 섭취 등으로 나타나는 두통은 삶의 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나, 당장 수술이 필요하거나 MRI 검사를 받을 정도로 위험하지 않다. 이런 두통의 특징은 ▲비슷한 양상으로 반복해 나타남 ▲음주·긴장 등 특정 상황에 놓일 때만 발생 ▲머리를 조이는 듯한 통증 등이다. 편두통도 여기에 속하는데, 스트레스·피로·알코올·과식 등 개인마다 다른 유발원인을 찾아 피하기만 해도 좋아진다. 원인 찾기가 어렵다면 자신이 어떤 행동을 한 뒤 두통이 생겼는지 '두통 일기'를 써 보는 게 도움이 된다. 원인을 찾을 수 없거나, 두통이 만성화됐다면 전문의와 상담해 약물치료 등을 시도하는 게 좋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