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젊은 비만 환자일수록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나이에 따라 비만도가 심혈관계에 미치는 위험이 달라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젊은 비만 환자는 심혈관 질환 발생이 위험이 컸던 반면, 노년층은 저체중일수록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형관·이현정 교수·숭실대 한경도 교수 공동 연구팀은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비만도와 심혈관 질환 위험의 연관성을 파악했다. 2009년에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중 심혈관 질환이 없었던 927만843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청년층(20~39세) ▲중년층(40~64세) ▲노년층(65세 이상) 등 연령대별 비만도에 따른 심근경색, 심부전과 사망 발생 위험을 추적 조사했다.

연구결과, 비만하거나 저체중일수록 심혈관 질환과 사망 위험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심근경색의 경우 청년층은 비만도와 비례해서 발병 위험이 증가했다. 반대로 노년층은 저체중일 때 발병 위험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중년층은 비만도가 높거나 저체중일 때 발병 위험이 증가하는 U자형 곡선을 그렸다. 심부전의 경우 청년층은 ‘정상체중(비만도 18.5-22.9kg/㎡)’일 때, 중년층은 정상체중 또는 ‘비만 전단계(비만도 23-24.9 kg/㎡)’일 때, 노년층은 비만 전단계일 때 발병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 위험은 연령에 관계없이 저체중일수록 증가했으며 ‘경도비만(25-29.9kg/㎡)’일 때 가장 낮았다.


이처럼 연령대별로 비만도와 심혈관 질환의 연관성이 달라진다는 사실은 조사대상자 나이를 10살 단위로 나눴을 때 더욱 잘 드러났다. 20대의 경우 비만도가 증가할수록 심혈관 질환 위험이 상승했던 반면, 70대 이상 노인은 저체중일 때 심근경색과 사망 위험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구진은 젊은 사람과 노인은 각각 비만, 저체중 여부에 따라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형관 교수는 “청년층은 비만해지지 않도록 체중을 조절하고, 이미 비만하다면 체중을 감량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노인층의 경우 근감소증으로 저체중이 되면 심혈관 질환과 사망 위험이 높아지므로, 체중이 감소하지 않도록 적절한 운동과 함께 식단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심장학회에서 발행하는 ‘유럽 예방 심장학 저널’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