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암·파킨슨병 등 중증질환자, 퇴원 후 집에서도 치료받을 수 있어야"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08/31 13:26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이선영 교수팀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퇴원 후 재택의료를 이용한 환자 655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특성과 의료서비스 수요를 분석한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재택의료란 의사·간호사 등 의료진이 환자 가정에 방문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연구 결과, 약 50%는 암환자였고 20%가 루게릭·파킨슨병 등 신경계질환자였다. 재택의료 이용 환자 3명 중 2명은 중증질환자였던 셈이다. 암 환자는 ▲중심정맥관 관리(43.5%) ▲욕창·장루 등 상처 관리(36.7%) ▲담도배액관·경피적 신루절개술 등 배액관 관리(22.1%) 등을 주로 필요로 했으며, 신경계질환자는 ▲위루관·비위관 등을 이용한 식이 보조(80.5%) ▲인공호흡기·기관절개관 등을 통한 호흡 보조(43.4%)에 대한 수요가 컸다. 재택의료 이용 기간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3개월 이상 장기 이용한 환자가 약 30%였으며, 특히 호흡보조와 식이보조가 필요했던 환자일수록 재택의료를 장기간 이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구팀은 암 환자의 경우 치료 과정에서 보유하게 된 여러 의료기기를 갖고 퇴원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환자가 집에서도 의료기기를 잘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신경계질환자 역시 질병 진행에 따라 식이·호흡 등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이 저하되므로, 퇴원 후 관련 지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선영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상급종합병원에서 급성기 치료 후 퇴원한 중증질환자 상당수가 집에서도 지속적인 의료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재택치료를 희망하는 중증질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존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포괄적인 재택치료 서비스 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급성기 치료 후 관리 및 장기 관리 학회 공식 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