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기 입이 비뚤어진다’는 처서가 지났는데도 가을 모기는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일상화된 고온으로 인해 가을에도 모기가 활동하는 데 무리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지금 이 시기는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가 왕성한 때다. 작은빨간집모기는 7~9월에 밀도가 높아지고 10월 말까지 관찰된다. 실제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 일본뇌염 환자는 8월에서 11월 사이에 주로 발생한다. 일본뇌염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다. 모기 물림을 피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모기 물림을 예방하려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 야외에 있을 땐 밝은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모기가 흡혈하지 못하게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노출된 피부나 옷 등엔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가정에선 매개 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되기 쉬운 환경을 조성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집주변의 물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에 고인 물을 없애고, 방충망 또는 모기장을 사용하자. 캠핑 등으로 야외 취침 시에도 텐트 안에 모기 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을 사용해야 한다.
일본뇌염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은 미리 예방접종을 하는 게 좋다. ▲아동 ▲논 또는 돼지 축사 인근 등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 ▲일본뇌염 유행국가로 여행계획이 있는 사람 등이 일본뇌염 고위험군이다. 한편, 모든 작은빨간집모기가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렸을 경우 극히 일부에서 일본뇌염이 발생한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매개 모기에 물린 사람의 99% 이상은 무증상을 보인다. 일부에서 열을 동반하고, 극히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한다. 사망률은 30% 수준이다. 회복되더라도 연축성 마비, 중추신경계 이상, 기면 등의 후유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모기 물림을 예방하려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 야외에 있을 땐 밝은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모기가 흡혈하지 못하게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노출된 피부나 옷 등엔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가정에선 매개 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되기 쉬운 환경을 조성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집주변의 물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에 고인 물을 없애고, 방충망 또는 모기장을 사용하자. 캠핑 등으로 야외 취침 시에도 텐트 안에 모기 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을 사용해야 한다.
일본뇌염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은 미리 예방접종을 하는 게 좋다. ▲아동 ▲논 또는 돼지 축사 인근 등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 ▲일본뇌염 유행국가로 여행계획이 있는 사람 등이 일본뇌염 고위험군이다. 한편, 모든 작은빨간집모기가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렸을 경우 극히 일부에서 일본뇌염이 발생한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매개 모기에 물린 사람의 99% 이상은 무증상을 보인다. 일부에서 열을 동반하고, 극히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한다. 사망률은 30% 수준이다. 회복되더라도 연축성 마비, 중추신경계 이상, 기면 등의 후유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