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다리에 철심이 있어도 로봇인공관절 수술 가능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08/23 15:32
이런 경우 외상성관절염으로 진단하게 되는데, 외상성관절염은 발생시기가 퇴행성관절염보다 빨라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한 시기도 50~60대로 일찍 찾아온다.
문제는 무릎 인공관절수술 시 외상성관절염 환자가 일반 퇴행성관절염 환자보다 합병증 발생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대부분 무릎에 한차례 이상의 수술을 받아본 적이 있는 병력이 관계되는 것으로 보인다.
2021년 10월 인공관절학술지(Journal of Arthroplasty)에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2년간 추적관찰한 결과 무릎주위 골절로 철심을 고정한 관절염 환자(823명)가 단순 퇴행성관절염 환자(1640명)보다 인공관절수술후의 감염률 (4.74% 대 1.34%), 수술 및 수술 후 골절률(1.58% 대 0.55%), 재수술률 (5.47% 대 2.47%) 모두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외상성관절염 환자의 인공관절수술은 더욱 신중해야 한다. 특히 무릎안에 철심이 있는 경우, 철심을 제거하는 수술 후 인공관절수술을 받아야 하는데 이럴 경우 골절과 세균감염 등 합병증의 발생확률이 높아진다.
하지만 최근 영상장비, 로봇 인공관절 등의 발달로 외상성관절염 환자도 철심 제거 없이 인공관절 수술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서울부민병원 궁윤배 로봇수술센터장은 “로봇, 네비게이션, 3D맟춤형 수술 기구 등이 개발되면서 무릎 주위에 금속 고정물이 있는 환자도 안전하게 인공관절 치환술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며 “로봇 수술의 경우 사전에 CT 촬영을 하고 모의 수술을 하는 등 계획을 정밀하게 세워 수술 성공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