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 치료법이 발전하며 암 생존율도 높아졌지만, 예방이 최선이란 사실엔 변함이 없다. 암을 발생시키는 위험요인을 미리 알고 피하는 게 중요하다. 최근 특정 위험요인의 영향으로 발생한 암 사망이 전체 암 사망의 절반가량을 차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 의과대학 연구팀은 ‘세계 질병·상해·위험요인 부담 연구(Global Burden of Diseases, Injuries, and Risk Factors Study, GBD)’ 결과를 검토해 암으로 인한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요인을 분석했다. GBD는 전 세계적인 사망·장애 원인과 사망·장애 위험을 높이는 위험요인을 포괄적으로 파악한 연구다. 연구팀은 204개국에서 수집된 총 369개의 사망·장애 원인과 87개의 위험요인 중, 암에 관련된 내용을 선별해 연구에 활용했다.
연구 결과, 위험요인이 기여해 발생한 암 사망은 전체 암 사망의 약 44.4%를 차지했다. 남성에선 암으로 인한 사망의 약 50.6%가, 여성에선 약 36.3%가 위험요인으로 인한 암 사망이었다. 위험요인 중 암으로 인한 사망에 기여하는 정도가 가장 큰 것은 ▲흡연 ▲알코올 섭취 ▲높은 체질량지수(BMI)였다.
위험요인으로 인한 암 사망은 증가하는 추세다. 연령구조가 암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한 ‘연령표준화암사망률’이 2019년 들어 2010년 대비 6.9% 줄었는데도, 위험요인이 기여한 암 사망률은 20.4% 증가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자료에 의하면 흡연은 암의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이다. 담배에 포함된 다양한 발암물질은 구강암뿐 아니라 인두암·후두암·식도암·방광암·췌장암 발생과 연관돼있다. 식습관이 나빠도 암이 생기기 쉽다. ▲지나치게 짠 음식 ▲태운 고기 ▲동물성 지방 ▲알코올의 과다섭취는 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술은 흡연이 식도암이나 인두암, 후두암을 일으키는 데 보조적 역할을 한다.
대부분 암은 원인이 아직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인자를 피하고, 암이 생겼을 때 조기 발견·치료할 수 있게 정기검진을 받으면 암으로 인한 사망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지난 20일 의학 학술지 ‘랜싯(Lancet)’에 게재됐다.
미국 워싱턴대 의과대학 연구팀은 ‘세계 질병·상해·위험요인 부담 연구(Global Burden of Diseases, Injuries, and Risk Factors Study, GBD)’ 결과를 검토해 암으로 인한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요인을 분석했다. GBD는 전 세계적인 사망·장애 원인과 사망·장애 위험을 높이는 위험요인을 포괄적으로 파악한 연구다. 연구팀은 204개국에서 수집된 총 369개의 사망·장애 원인과 87개의 위험요인 중, 암에 관련된 내용을 선별해 연구에 활용했다.
연구 결과, 위험요인이 기여해 발생한 암 사망은 전체 암 사망의 약 44.4%를 차지했다. 남성에선 암으로 인한 사망의 약 50.6%가, 여성에선 약 36.3%가 위험요인으로 인한 암 사망이었다. 위험요인 중 암으로 인한 사망에 기여하는 정도가 가장 큰 것은 ▲흡연 ▲알코올 섭취 ▲높은 체질량지수(BMI)였다.
위험요인으로 인한 암 사망은 증가하는 추세다. 연령구조가 암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한 ‘연령표준화암사망률’이 2019년 들어 2010년 대비 6.9% 줄었는데도, 위험요인이 기여한 암 사망률은 20.4% 증가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자료에 의하면 흡연은 암의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이다. 담배에 포함된 다양한 발암물질은 구강암뿐 아니라 인두암·후두암·식도암·방광암·췌장암 발생과 연관돼있다. 식습관이 나빠도 암이 생기기 쉽다. ▲지나치게 짠 음식 ▲태운 고기 ▲동물성 지방 ▲알코올의 과다섭취는 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술은 흡연이 식도암이나 인두암, 후두암을 일으키는 데 보조적 역할을 한다.
대부분 암은 원인이 아직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인자를 피하고, 암이 생겼을 때 조기 발견·치료할 수 있게 정기검진을 받으면 암으로 인한 사망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지난 20일 의학 학술지 ‘랜싯(Lancet)’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