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역류성 식도염이라면 ‘이것’ 포기해라

신은진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카페인이 든 음식은 역류성 식도염을 악화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약을 먹어도 완치가 어려운 역류성 식도염은 식습관을 반드시 개선해야 증상 개선이 가능한 병이다. 잦은 역류성 식도염 재발로 고생하고 있다면, 식습관부터 살펴보자.

◇카페인·술·기름진 음식·탄산 피해야
안타깝지만 역류성 식도염 환자가 포기해야 할 음식은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첫 번째로 포기해야 할 음식은 커피, 초콜릿 등 카페인이 든 음식이다. 카페인은 하부 식도 괄약근 수축을 방해해 위산 역류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성분이다. 커피 한 잔도 역류성 식도염엔 독이 될 수 있다.

하부 식도 괄약근 수축을 저해하는 또 다른 음식으로는 기름진 음식, 레드와인 등 술 등이 있다. 탄산음료와 캡사이신이 든 매운 음식도 안 된다. 탄산음료는 식도 내 산도(pH)를 짧은 시간 동안 낮추고, 하부 식도 괄약근 압력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캡사이신은 위산과 펩신분비를 증가시키고, 위 점막을 손상해 역류성 식도염을 악화할 수 있다.

위산 분비를 촉진하는 과일도 피해야 한다. 귤, 레몬, 자몽, 오렌지 등 산도가 높은 과일은 역류성 식도염을 악화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역류성 식도염이 심할 땐 비타민 C 영양제도 먹지 않는 게 좋다. 만일 비타민 C 보충제를 꼭 먹어야만 하는 상황이라면, 식사 후 복용하는 게 좋다.


반면, 바나나, 멜론, 오트밀 등 위산을 중화할 수 있는 음식이나 위벽 점막 강화 효과가 있는 양배추 등은 먹어도 괜찮다. 단, 위산 중화 음식이라도 과식은 피해야 한다. 역류성 식도염 환자는 조금씩 자주 음식을 먹는 게 좋다.

◇식후 최소 3시간 눕지 말기… 잘 땐 왼쪽으로 누워야
역류성 식도염 증상을 완화하려면 식후 태도도 바꿔야 한다. 식사를 하고 나서 3~4시간은 눕지 않아야 하고, 취침 2시간 전에는 금식해야 한다. 식사 후 소화가 제대로 되지 않은 채 눕게 되면, 위 속 음식이 중력 때문에 역류할 가능성이 커진다. 음식이 정상적으로 위장으로 내려가 소화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줘야 한다.

잘 때는 상체를 약간 높이고 자거나 왼쪽으로 누워서 자는 게 좋다. 위는 왼쪽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왼쪽으로 눕거나 상체를 높이면, 중력에 의해 위산이 역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바닥면에서 신체까지의 높이는 배에서부터 완만히 높아져 머리에서 10~20cm 정도 위치하는 게 좋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