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반이 틀어지면 걸음걸이가 달라진다. 걷는 자세가 뒤틀리면 신발 뒷굽도 비대칭적으로 닳는다. 지금 신발 뒷굽을 들여다보고, 내 골반 자세가 어떻게 나빠진 건지 점검해보자.
◇한쪽 굽만 닳았다면? 골반 틀어졌을 수 있어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한쪽 신발 굽만 유난히 닳았다면, 골반이 틀어졌다는 신호일 수 있다. 자세가 나빠 척추가 휘거나 골반이 뒤틀리면 양쪽 다리 길이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대부분은 척추·골반·고관절·무릎관절이 제 위치를 벗어난 게 원인이지만, 선천적으로 다리 길이가 다른 때도 있다.
두 다리의 길이가 다르면 보행에 이상이 생길 수 있으며, 무릎이 바깥으로 구부러져 다리 전체가 휠 수도 있다. 척추와 골반 균형이 무너지며 근골격계에 통증이 생겼다면 ‘부정렬증후군’이 의심된다. 척추와 골반을 비롯한 사지의 정렬이 어긋나, 팔다리 운동범위가 비대칭적으로 변하거나 근육이 굳는 증상이 대표적이다.
◇굽 바깥쪽이 닳았다면? 팔자걸음 탓
발끝을 八(팔)자 모양으로 15도 정도 벌리고 걷는 사람은 굽 바깥쪽이 잘 마모된다. 특히 퇴행성 관절염으로 고관절과 무릎 바깥쪽 연골이 손상된 사람은 팔자로 걷기 쉽다. 이외에 ▲고관절 주변 근육과 골반을 지지하는 근육이 약한 사람 ▲양반다리를 자주 하는 사람 ▲복부와 허벅지 안쪽에 살이 많은 사람에게서 팔자걸음이 자주 관찰된다. 팔자로 오래 걸으면 허리가 뒤로 젖혀져 척추 관절에 염증이 생길 수 있다. 골반이 틀어지기 쉬운 탓에 허리디스크 같은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기도 한다.
◇굽 안쪽이 닳았다면? 안짱걸음 탓
안짱걸음은 팔자걸음과 반대다. 두 발끝이 0~15도 정도 안쪽으로 향한 채 걷는 방식이다. 상체가 앞으로 기울어지고 하체는 뒤로 빠지게 된다. 평발이거나, 퇴행성 관절염이 있거나, 고관절 근육이 약한 사람들에게서 자주 관찰된다. 안짱걸음을 교정하지 않으면 양다리가 휘어져 O자 형태로 변형되기도 한다. 무릎에 가해지는 몸무게가 골고루 분산되지 않아, 무릎 관절염이 없다가도 생길 수 있다.
		
        
      ◇한쪽 굽만 닳았다면? 골반 틀어졌을 수 있어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한쪽 신발 굽만 유난히 닳았다면, 골반이 틀어졌다는 신호일 수 있다. 자세가 나빠 척추가 휘거나 골반이 뒤틀리면 양쪽 다리 길이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대부분은 척추·골반·고관절·무릎관절이 제 위치를 벗어난 게 원인이지만, 선천적으로 다리 길이가 다른 때도 있다.
두 다리의 길이가 다르면 보행에 이상이 생길 수 있으며, 무릎이 바깥으로 구부러져 다리 전체가 휠 수도 있다. 척추와 골반 균형이 무너지며 근골격계에 통증이 생겼다면 ‘부정렬증후군’이 의심된다. 척추와 골반을 비롯한 사지의 정렬이 어긋나, 팔다리 운동범위가 비대칭적으로 변하거나 근육이 굳는 증상이 대표적이다.
◇굽 바깥쪽이 닳았다면? 팔자걸음 탓
발끝을 八(팔)자 모양으로 15도 정도 벌리고 걷는 사람은 굽 바깥쪽이 잘 마모된다. 특히 퇴행성 관절염으로 고관절과 무릎 바깥쪽 연골이 손상된 사람은 팔자로 걷기 쉽다. 이외에 ▲고관절 주변 근육과 골반을 지지하는 근육이 약한 사람 ▲양반다리를 자주 하는 사람 ▲복부와 허벅지 안쪽에 살이 많은 사람에게서 팔자걸음이 자주 관찰된다. 팔자로 오래 걸으면 허리가 뒤로 젖혀져 척추 관절에 염증이 생길 수 있다. 골반이 틀어지기 쉬운 탓에 허리디스크 같은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기도 한다.
◇굽 안쪽이 닳았다면? 안짱걸음 탓
안짱걸음은 팔자걸음과 반대다. 두 발끝이 0~15도 정도 안쪽으로 향한 채 걷는 방식이다. 상체가 앞으로 기울어지고 하체는 뒤로 빠지게 된다. 평발이거나, 퇴행성 관절염이 있거나, 고관절 근육이 약한 사람들에게서 자주 관찰된다. 안짱걸음을 교정하지 않으면 양다리가 휘어져 O자 형태로 변형되기도 한다. 무릎에 가해지는 몸무게가 골고루 분산되지 않아, 무릎 관절염이 없다가도 생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