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양치할수록 이 시리다면? '이 질환' 의심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이원영 헬스조선 인턴기자

이미지

과도한 양치질은 치경부 마모증을 유발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양치를 열심히 하는데도 이 시린 증상이 가시지 않고 오히려 더 심해진다면 '치경부 마모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치경부 마모증이란 치아와 잇몸을 연결하는 치경부가 닳아서 치아 안에 있는 잇몸 신경이 드러나는 질환이다.

치경부 마모증의 주된 증상이 이 시림이다. 뜨겁거나 찬 음식을 먹으면 이가 시리고, 질기거나 딱딱한 음식을 씹기만 해도 치아가 시리다. 치경부 마모증이 심해질 경우 신경이 노출돼 치아가 약해지는데, 음식을 먹을 때 치아가 부러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만약 시린 증상이 없어도, 다른 치아에 비해 유독 많이 패여 있는 것이 육안으로 확인된다면 치경부 마모증을 의심할 수 있다.

치경부 마모증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이유는 잘못된 양치습관이다. 좌우로 세게 양치하거나 뻣뻣한 칫솔을 사용할 경우 치경부가 마모된다. 치약에 탄산칼슘 성분이 들어 있어도 치아가 쉽게 마모될 수 있다. 탄산칼슘 성분 치약은 플라그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치경부가 약하다면 마모 속도를 앞당길 수 있다. 또한, 탄산음료처럼 산성이 강한 음식이나 딱딱하거나 질긴 음식을 자주 섭취하면 치아가 마모된다. 이를 자주 갈거나, 이를 세게 무슨 습관이 있어도 이가 마모될 수 있다.


치경부 마모증은 진행 속도가 빠른 것이 특징이다. 치아는 가장 바깥의 법랑질, 그 안에 있는 상아질로 이루어져 있다. 법랑질이 마모되면 상아질이 노출되는데, 상아질은 법랑질보다 상대적으로 부드러워 한번 마모가 되면 법랑질보다 빠른 속도로 사라진다. 그러므로 치경부 마모증이 의심된다면 빠른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치경부 마모증이 심각하지 않다면 시린이 전용 치약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양치 방법도 바꿔야 하는데, 아래에서 위로, 손목을 돌리면서 닦아야 한다. 칫솔모도 딱딱한 것보다는 부드러운 것으로 바꾼다. 딱딱하거나 질긴 음식보다는 부드러운 음식을 먹어 이에 자극을 적게 주는 것이 좋다. 생활습관을 개선해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치과를 방문해 레진으로 메꿔 치아 마모를 막거나, 심한 경우 치아를 씌우는 치료나 신경치료를 해야 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