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대폰을 무음이나 진동으로 해둘 때 스트레스를 더 받게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펜실베니아 주립대 연구팀은 스마트폰 사용자 138명에게 포모증후군이 있는지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포모증후군은 자신만 뒤처지고, 소외되는 것 같은 불안감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휴대폰 사용 시간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스크린 타임 도구를 활성화시켜 수집했다. 연구는 4일 동안 진행됐고, 참여자 중 42%는 진동모드, 8.7%는 무음 모드 나머지는 소리 모드를 선택했다.
그 결과, 무음 모드로 해둔 사람이 소리를 켜놓은 사람보다 휴대폰 확인을 더 자주 했고 소셜미디어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또한 포모증후군이 있으면 휴대폰 사용 시간이 더 많았으며, 스트레스도 증가했다.
연구팀은 소리와 진동 알림음이 사용자들의 불확실성을 누그러뜨리고, 정보전달적, 사회적, 환경적 감독 만족감을 충족시킨다고 밝혔다.
펜실베니아 주립대 연구팀은 스마트폰 사용자 138명에게 포모증후군이 있는지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포모증후군은 자신만 뒤처지고, 소외되는 것 같은 불안감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휴대폰 사용 시간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스크린 타임 도구를 활성화시켜 수집했다. 연구는 4일 동안 진행됐고, 참여자 중 42%는 진동모드, 8.7%는 무음 모드 나머지는 소리 모드를 선택했다.
그 결과, 무음 모드로 해둔 사람이 소리를 켜놓은 사람보다 휴대폰 확인을 더 자주 했고 소셜미디어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또한 포모증후군이 있으면 휴대폰 사용 시간이 더 많았으며, 스트레스도 증가했다.
연구팀은 소리와 진동 알림음이 사용자들의 불확실성을 누그러뜨리고, 정보전달적, 사회적, 환경적 감독 만족감을 충족시킨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인간 행동과 컴퓨터(Computers in Human Behavior)’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