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성장 더딘 우리 아이…'이것'에 시달린 엄마 때문?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임신 중 화장품, 향수, 헤어스프레이 등에서 검출되는 ‘프탈레이트’에 노출되면 태어난 아이가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임신 중 ‘프탈레이트’에 노출되면 태어난 아이가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장난감, 바닥재, 식품 포장재, 세제, 화장품, 향수, 헤어스프레이 등에서 주로 검출된다. 대표적 내분비계 교란물질(환경호르몬) 중 하나며, 특히 남성호르몬과 미토콘드리아의 작용·기능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성조숙증, 갑상선 기능 이상 등 어린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당뇨병, 비만 등 성인병과도 연관성이 있다.

서울대병원 환경의학클리닉 홍윤철 교수팀(이동욱 교수)은 총 39개 연구에 대한 검토·메타분석을 통해, 산전 프탈레이트 노출과 어린이의 신체 성장 사이 연관성을 조사했다. 2021년까지 출판된 문헌들을 활용했으며, 산전 프탈레이트 노출과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등 어린이의 신체계측 지표를 파악·분석했다.


연구결과, 임신 중 프탈레이트 노출이 약 2.7배 증가하면 출산한 아이의 아동기 체질량지수 표준점수가 0.05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중 프탈레이트에 노출될 경우 아이가 기대 체중에 도달하지 못하는 등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할 수 있다는 의미다. 반면 임신 중 프탈레이트 노출과 출생 후 아동기 체지방률 사이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임신 중 프탈레이트 노출이 어린이 체지방률과 관련성이 낮고, 근육 발달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함을 보고한 이전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이동욱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임신 중 프탈레이트 노출이 지방 외 근골격계 등의 발달에 영향을 미쳐 출산 후 어린이의 정상적인 성장을 저해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아동의 정상적인 성장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임신 중 프탈레이트 노출을 줄이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홍윤철 교수 또한 “향후 연구는 어린이의 성장에 미치는 프탈레이트의 해로운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며 “생활환경에서 프탈레이트에 대한 더 엄격하고 광범위한 규제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최신호에 발표됐다.


癲ル슢��옙�볦삕�좑옙 占쎄퀗�э옙占� 占쎌쥙�ο옙�쇱삕�좑옙

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⑵짆�낆삕占쏙옙�용쐻�좑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