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나는 탈모 초기? 중기?… 어떻게 알 수 있나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06/09 06:30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걱정하는 증상이 '탈모'다. 그런데 탈모도 단계가 있다. 자신이 탈모에 해당한다면 어떤 단계인지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치료법을 찾아야 한다.
탈모 초기에는 겉으로 보기엔 문제가 없다. 하지만 평소에 비해 머리카락이 많이 빠진다는 생각이 들고, 왁스나 스프레이를 이용해 머리를 스타일링해도 오래 유지되지 않는다. 특히 이마 쪽 앞 머리카락이나 정수리, 가르마 부분의 머리카락이 눈에 띄게 가늘어진다. 탈모 중기에는 탈모 종류가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머리가 빠진다. 탈모 종류 에는 크게 M형, 원형, 확산형이 있다. M형은 정면에서 봤을 때 머리카락과 이마의 경계선이 알파벳 M을 그리면서 탈모가 진행되는 것이다. 원형은 원모양, 확산형은 정수리 가르마 중심으로 탈모가 진행된다. 탈모 말기는 머리카락만 빠지는 게 아니고 모낭 자체가 사라진 상태다. 뒤통수 아래쪽에만 머리카락이 나 있다. 정수리 쪽을 내려다보면 거꾸로 된 U형의 헤어라인이 보인다.
탈모 치료법은 머리카락이 빠지는 유형에 따라 다르다. M형 탈모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탓에 생기는데, 이 호르몬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을 사용한다. 미녹시딜 성분이 함유된 약을 바르거나, 두타스테리드나 피나스테리드 성분을 함유한 약을 복용한다. 원형 탈모는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를 한다. 몸속 면역계가 모낭을 적으로 인식·공격해 생기는데, 스테로이드는 면역계의 이상 반응을 억제해 탈모를 억제한다. 확산형 탈모에는 먹는 약인 사이프로테론과 바르는 약인 미녹시딜이 쓰인다.
최근 들어서는 LED 광선, 자외선, 엑시머레이저 등 다양한 광치료기가 탈모에 쓰이고 있다. 남성형 탈모에는 LED 광선이, 원형 탈모에는 자외선과 엑시머레이저가 쓰인다. LED 광선은 모낭 성장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자외선과 엑시머레이저는 염증을 완화하는 기능을 한다. 탈모 타입에 따라 다른 종류의 광치료를 한다. 모발이식이나 먹는 약, 바르는 약에 비해 광치료의 탈모 완화 효과는 아직 미미하다. 효과의 정도로 봤을 때 모발이식, 먹는 약, 바르는 약, 광치료 순으로 뛰어나다.
탈모를 예방하려면 샴푸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우선 자신의 두피 타입이 지성인지 건성인지 구분하는 게 중요하다. 지성 두피는 말 그대로 머리카락에 기름이 자주 끼는 타입이다. 건성 두피는 머리를 깨끗이 감아도 두피가 가렵고 건조하게 느껴진다. 지성 두피는 세정력이 높고 컨디셔너 성분이 적은 샴푸를 건성 두피는 세정력이 낮고 컨디셔너 성분이 많이 든 샴푸를 써야 한다. 더불어 머리는 하루에 한 번씩 감아야 한다. 하루에 한 번만 머리를 감으면 탈모가 악화될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 데 오해다. 이보다 적게 감으면 두피의 노폐물과 불순물이 모근을 막아 더 심한 탈모를 부를 수 있다. 같은 이유로 아침보다는 외출이 끝난 후 밤에 머리를 감 는 것이 좋다. 그래야 오염물질이 두피에 오래 남아 있지 못한다. 볕이 뜨거운 오전 11시에서 오후 3시 사이 외출할 때는 양산이나 모자를 쓰자. 두피가 자외선을 정면으로 쐬면 건조해지고 염증이 생기면서 탈모가 악화된다. 자기 전 두피 마사지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양손 엄지손가락으로 관자놀이를 지그시 누르면서 검지와 중지로 이마의 머리카락 라인을 따라 천천히 눌러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