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맥주 말고, 통풍 유발하는 퓨린 많은 식품

오상훈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말린 새우·멸치, 간·곱창, 맥주 등은 퓨린 함량이 높아 통풍 고위험군이라면 유의하는 게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퓨린은 질소 화합물의 일종이다. 체내에서 분해되면 요산으로 변한다. 적정량의 요산은 대사 과정을 거쳐 소변으로 배출되지만 고퓨린 식품을 과다하게 섭취하면 요산이 체내에 잔류하면서 고요산혈증 및 통풍으로 이어질 수 있다. 퓨린 함량이 높은 식품을 소개한다.

◇말린 새우·멸치
말린 새우엔 퓨린이 많다. 100g당 약 750mg의 퓨린이 들어있다고 한다. 말린 멸치도 비슷하다. 둘 다 주로 국물 맛을 내는 데 사용된다. 다행인 건 퓨린이 수용성이라 물에 쉽게 용해된다는 것이다. 조리할 때 삶거나 끓이면 퓨린 함량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기름에 볶거나 생것으로 먹는다면 통풍 환자나 고위험군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럴 땐 퓨린 함량이 높은 머리와 내장 부분은 제거하는 게 좋다.

◇간·곱창
퓨린은 육류에 많은데 특히 내장 부위에 많다고 알려져 있다. 동물들이 섭취한 영양소들이 아직 소화 및 해독 과정을 거치기 전에 모이는 곳이기 때문이다. 특히 돼지와 소의 간 100g당 퓨린 함량은 각각 284mg, 219mg이다. 어쩌다 한 번 먹는다고 체내 요산 수치가 높아지진 않겠지만 알코올과 함께 내장 음식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유의하는 게 좋다.

◇맥주
통풍에 가장 안 좋은 건 맥주라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맥주는 주류 중 퓨린 함량이 가장 높을 뿐 다른 식품과 비교하기엔 미안한 수준이다. 대체로 1L 당 퓨린 함량이 30mg을 넘지 않아서다. 사실 맥주가 통풍에 위험한 이유는 퓨린보다 알코올 때문이다. 알코올은 요산 배출을 억제한다. 맥주를 먹으면 소변이 자주 나와 요산이 잘 나올 것이라고 여길 수 있지만 알코올의 일부는 젖산으로 변한 뒤 신장의 근세뇨관에서 경쟁적으로 작용해 요산을 제외한 수분만 배출시킨다. 또 맥주는 다른 주류보다 많이 먹게 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통풍 고위험군이라면 맥주는 피한다.

사실 퓨린은 거의 모든 음식에 들어있기 때문에 아예 피하는 건 불가능하다. 게다가 퓨린은 식품에 의한 섭취뿐만 아니라 몸 속 세포의 사멸 과정에서도 생성된다. 그러므로 술을 자주 먹는 50대 이상 남성과 같은 통풍 고위험군이 고퓨린 식품을 피하면 통풍 예방 및 증상 완화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정도로 이해하는 게 좋다. 통풍을 예방하기 위해선 물을 충분히 마시고 장시간 좌식도 자제해야 한다.




헬스조선 서비스